<p></p><br /><br />서울의 노후지역에 있는 빌라들, 재개발 기대감에 최근 투자지로 인기였죠. <br> <br>하지만 2.4대책 이후 매수 문의가 뚝 끊겼습니다. <br> <br>재개발을 해도 입주권을 주지 않는 이른바 '물딱지가 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. <br> <br>박지혜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서울의 한 노후 빌라 밀집 지역입니다. <br> <br>아파트 값이 천정부지로 오른 가운데 상대적으로 가격도 저렴하고, 잘하면 공공재개발 사업지로 지정될 수 있다는 기대감에 <br>인기를 끌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지난 4일 대책 발표 이후 문의는 뚝 끊겼습니다. <br> <br>4일 이후 공공이 직접 재개발하는 지역에 주택을 산 사람에겐 정부가 입주권을 주지 않고, <br> <br>현금으로 청산하기로 했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[서울 성북구 공인중개사] <br>“뜸하다고요, 손님이. 많이 줄었다고요. (2·4 대책) 발표 나고선 거의 없어요. (입주자격 주는 게) 분명치 않으니까.” <br><br>정부는 투기 수요를 억제하기 위한 조치라고 밝혔지만, 부동산 커뮤니티 등에는 내가 산 주택이 이른바 '물딱지'가 될 수도 있다는 걱정에, 4일 이전으로 계약일을 바꿀 수 있냐는 문의가 줄을 잇고 있습니다.<br> <br>반면 공공 재건축 가능성이 낮은 서울 강남권 재건축 단지는 2·4 대책 이후 '안전지대'로 인식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[서울 서초구 공인중개사] <br>“주민들은 (공공재건축) 관심도 없어요. 제재가 많으니까 별 메리트(이점)가 없다고 보는 거죠. 늘어나는 세대 수만큼 임대주택이니까요.” <br> <br>정부 대책 발표 이후 노후 빌라에 대한 관심은 다시 신축 아파트로 옮겨가고 있습니다 <br> <br>일각에선 과도한 사유재산권 침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지만 국토부는 ”법적 검토를 끝냈다“며 오는 3월부터 해당 법을 소급 적용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박지혜입니다. <br> <br>sophia@donga.com <br>영상편집 : 이은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