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논란이 불거졌을 당시 여당은 "블랙리스트가 아니라 체크리스트다" 이렇게 주장했었죠. <br> <br>"블랙리스트가 맞다"는 판결에 여당도, 당사자인 청와대도 당혹스러운 분위기입니다. <br><br>반면, 야당은 "내로남불 유전자가 확인됐다"고 비판했습니다. <br> <br>이민찬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[홍영표 / 당시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(2019년 2월)] <br>"환경부 문건은 불법적 블랙리스트가 아니라 합법적인 체크리스트라고 합니다." <br> <br>[나경원 / 당시 자유한국당 원내대표(2019년 2월)] <br>"문재인판 블랙리스트는 330개 기관의 660여명에 이른다고 합니다. 초대형 블랙리스트가 아닌가 싶습니다." <br> <br>지난 20대 국회에서 여야가 대립했던 환경부 블랙리스트 의혹. <br> <br>1심에서 유죄 판결이 나오자 국민의힘은 사필귀정이라고 했습니다. <br> <br>[김은혜 / 국민의힘 대변인] <br>"문재인 정부의 유전자에는 민간인 사찰이 없다더니 체크리스트를 가장한 내로남불 유전자가 다시 한 번 확인된 셈입니다." <br> <br>박근혜 정부의 '문화계 블랙리스트' 건과 비교한 겁니다. <br> <br>오히려 문재인 정부에서 광범위하게 블랙리스트가 존재했다며 청와대 개입 여부도 수사하라고 압박했습니다. <br> <br>더불어민주당은 당혹스러운 분위기입니다. <br><br>"법원의 판결에 아쉬움이 남는다"며 "최종 결과를 지켜보겠다"는 짤막한 서면 입장만 냈습니다. <br><br>당 지도부 인사는 "판결을 보고 놀랐다, 뭐라고 말할 수 있겠느냐"며 말을 아꼈습니다. <br><br>청와대도 별도 입장을 내지 않았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민찬입니다. <br> <br>leemin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채희재 <br>영상편집 : 김태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