MS, 작년 11월 7개 제약사 노린 사이버 공격 탐지 <br />국정원, 국내 제약회사 대상 北 해킹 시도 포착<br /><br /> <br />유엔의 대북제재와 코로나19 상황이 장기화하면서 국내외에서 북한의 사이버 도발 조짐이 심상치 않습니다. <br /> <br />코로나19 백신 정보는 물론 경제난 타개를 위해 가상화폐 등 금전을 노린 해킹 공격이 더욱 늘 것으로 우려됩니다. <br /> <br />이교준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마이크로소프트는 지난해 11월 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를 연구하는 7개 제약회사를 표적으로 삼은 사이버 공격을 탐지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제약사들의 백신 연구 정보를 노린 해커는 북한의 징크 등 3개 단체로 파악됐습니다. <br /> <br />국정원도 지난해 국내 백신 제약회사들에 대한 북한 단체들의 해킹 시도를 포착해 차단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우리 공공기관들이 받은 사이버 공격은 하루 평균 160만 건이 넘는데 이 가운데 90% 이상이 북한의 소행으로 추정됩니다. <br /> <br />[김병기 / 더불어민주당 의원 (2020년 11월 3일, 국회 정보위 국정감사) : 국가 공공기관에 대한 사이버 공격 시도 건수가 하루 평균 162만 건이고 2016년 41만 건에 비해 약 4배가 급증했다고 보고했습니다. 하루입니다. 올해 발생한 해킹 사고 중에서 공격 주체는 북한이 가장 많았고….] <br /> <br />문제는 핵과 미사일 개발 자금 마련 등을 위해 외화 탈취를 노린 해킹도 늘고 있다는 점입니다. <br /> <br />유엔 대북제재위원회는 최근 연례보고서에서 "북한과 연계된 해커들이 금융기관과 가상화폐 거래소를 상대로 지속적인 해킹 활동을 벌였다"고 지적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렇게 해킹으로 벌어들인 가상화폐가 연간 3억 달러, 우리 돈 3500억 원이 넘는 것으로 추산됩니다. <br /> <br />[김일기 /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책임연구위원 : 북한은 유엔 대북제재가 강화되면서 외화벌이가 약화되고 이에 따라 정찰총국의 기술정찰국을 중심으로 금전 탈취 목적의 사이버 공격이 증가하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코로나19 상황으로 엄격한 국경 봉쇄가 길어짐에 따라 경제난이 심화할수록 북한의 사이버 도발 위험이 더 커질 것으로 우려됩니다. <br /> <br />YTN 이교준[kyojoon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10211035700571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