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인구 데드 크로스, 출생보다 사망자가 더 많은 현상을 말합니다. <br> <br>지난해 우리나라는 처음으로 데드크로스에 진입했습니다. <br><br>여기에 고용쇼크라고 불릴 만큼 일자리가 급감했죠. <br> <br>활력을 잃어버린 대한민국의 현실, 안건우· 박정서 기자가 집중 취재했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[정예진 / 19년차 공인중개사] <br>"19년 부동산 중개하며 떠나고 싶다 생각한 게 2019년, 지난해 상반기였습니다. 거래가 없을 정도로. (그동안) 1건도 못해본 적이 없었거든요." <br> <br>집값 수억 원 뛰는 서울은 다른 세상 <br> <br>[정예진] <br>"(여기선) 4년 공실인 집이 1700만 원. 전화 와요. 정말인지." <br> <br>조선과 자동차 산업의 메카 2000년대 초반 군산은 젊은 도시였다 <br> <br>[정예진] <br>"많이 왔죠, 2030. 매물 내놓기 무섭게 거래되고." <br> <br>[이춘자 / 군산서 평생 거주] <br>"(아이들도) 그땐 있었죠. 배 부리는 (조선소) 사람도 많이 살았어요. 다 직장 따라갔는데, 어디로 간지 아나?" <br> <br>5년 전 일자리가 사라지자 1만 명이 떠났고 도시도 늙어버렸다 <br> <br>[김일섭/ 25년째 목공소 운영] <br>"GM대우·현대중공업 있을 땐 (젊은이들이) 꽉꽉 찼는데 하나도 없다고. 힘들어. 군산이. 딸도 대학생인데 군산서 안 산다 해요" <br> <br>한때 불야성이었던 도심 번화가 <br> <br>[이에스더 / 작년에 서울 이주] <br>"안 그래도 이야기하며 걸어왔는데 이렇게 어두워질 줄 몰랐어요." <br> <br>지금은 정적과 어둠뿐 <br> <br>[이에스더] <br>"실질적으로 젊은이들이 거주할 환경을 만든다 느끼지 못하는 것 같아요. (돌아온다? 돌아오지 않는다?) 돌아오지 않을…서울에서 계속." <br> <br>[최서영 / 경남 창원시] <br>"(결혼하고 싶으세요?) 네." <br>"(애를 낳고 싶다거나?) 아니요,그건 아니에요." <br>"(1억 준다고 하면 3명 낳을 생각 있나요?) 아니요,1억으로 끝낼 일이 아니니까." <br> <br>청년층은 줄어들고 그나마 남아 있는 젊은 부부들도 아이를 낳지 않아 걱정인 도시. <br> <br>[박정서 기자] <br>"인구 약 104만명이 살고 있는 경남 창원시입니다. 내년에 인구 100만 명을 최소 기준으로 하는 특례시 지정을 앞두고 있는 곳이죠. <br> <br>매년 인구가 5천명 정도 빠져나가는 상황이 되자 창원시는 '결혼 드림론'을 내놨습니다." <br> <br>결혼하면 1억 원을 대출해주고 셋째까지 낳으면 빚을 모두 갚아준다는겁니다. <br><br>시민 의견은 엇갈립니다. <br> <br>[김애진 / 창원 진해구] <br>"너무 좋은 정책인 것 같아요. 더 낳고싶네요." <br> <br>[전영준 / 경남 김해시] <br>"젊은 층이 창원으로 또 오지 않을까 싶기도 합니다." <br> <br>[이유성 / 경남 창원시] <br>"돈 때문에 애를 세 명 낳을 이유는 잘 없을 것 같아요." <br> <br>[김도형 / 경남 창원시] <br>"문화 시설이나 인프라의 문제죠." <br> <br>이런 정책이 효과가 있을까. <br> <br>2012년, 전국 최초로 출산장려금을 도입한 전남 해남군. <br> <br>7년 연속 출산율 1위를 기록했지만 정작 인구는 계속 줄어 '해남의 역설'이라는 말도 나옵니다. <br> <br>2015년 해남에서 839명이 태어났는데, 지난해 조사해보니 남아 있는 2015년생 아이는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습니다. <br><br>해남군은 "부모가 일자리를 찾아 나가거나 아이가 학교 갈 나이가 되자 좋은 교육 환경을 찾아 떠난 것"이라고 설명했습니다. <br> <br>[30대 비출산 여성] <br>"일시적으로 이렇게 얼마 지원, 대출해줄게 라는 것 보다는 아이가 자라서 클때까지 전반적인 제도 같은 것 그런게 더 필요할 거라고…" <br> <br>하지만 수도권보다 '인구 절벽'을 더 빠르게 느낀 지자체들은 지푸라기 잡는 심정으로 각종 장려금만 쏟아낼 뿐입니다. <br><br>[이삼식 / 한양대 정책학과 교수] <br>"절대로 돈으로 아이를 살수는 없어요. 문화적인 접근과 환경을 만든다는 게 탄탄하게 이뤄져야지. 이러한 환경을 안 만들어주면 (출산) 선택의 여지가 없는거죠." <br> <br>지난해 말, 사상 처음으로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를 앞지른 상황. <br><br>일자리와 주거 안정, 육아 환경까지 촘촘히 고려한 종합 정책만이 '인구 데드크로스'를 멈출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박정서입니다. <br> <br>srv1954@donga.com <br>emotion@donga.com <br>영상취재: 박희현 권재우 <br>영상편집: 최창규 이혜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