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피해자는 정신적 고통…“블랙리스트 관여한 공무원들은 영전”

2021-02-12 1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환경부 블랙리스트 관련 소식 알아봅니다. <br> <br>1심 재판부는 환경부와 청와대가 리스트를 분류해서 임기가 남은 전 정권 인사를 찍어냈다고 판단했죠. <br> <br>하지만, 청와대는 여전히 블랙리스트가 아니라고 주장하고 있는데요. <br> <br>정현우 기자가 당시 밀려나거나 버텼다가 표적 감사를 당했던, 피해자들의 이야기를 들어봤습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지난 2018년 환경부와 청와대는 박근혜 정부 때 임명된 한국환경공단 임원 전원에게 사표를 요구했습니다. <br> <br>강만옥 당시 본부장은 제출을 거부하다가 표적 감사까지 당했습니다. <br> <br>[강만옥 / 전 한국환경공단 본부장] <br>"제가 정신적으로 엄청 힘들었거든요. 2017년 7월 말부터 저를 괴롭혔어요. 비공식적으로." <br> <br>강 씨는 구속된 김은경 전 장관 외에 블랙리스트 작업에 관여한 공무원들도 책임을 져야 한다고 말합니다. <br> <br>[강만옥 / 전 한국환경공단 본부장] <br>"(관여한) 공무원들은 영전하고 자리가 올라갔는데 공동정범으로 재판에 회부 돼야 한다. 저라도 따로 고소할까 생각 중이긴 한데." <br><br>강 씨처럼 표적 감사를 받았던 김현민 당시 상임감사는 정권 교체 이후 조급증 때문에 벌어진 사건이라고 말합니다. <br> <br>[김현민 / 전 한국환경공단 상임감사] <br>"(인사 문제로) 소란을 떤 거죠. 순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것이거든요. 좌우익 극렬 투쟁하는 것처럼 적으로 보고." <br> <br>당시 사표를 내고 물러난 전병성 전 이사장은 <br> <br>공공기관 임원의 임기는 법으로 보장돼 있고, <br><br>법이 지켜져야 민주주의가 완성된다는 말로 재판 소회를 대신했습니다. <br><br>사표를 종용해 생긴 빈자리는 대부분 친정권 인사로 채워졌습니다. <br> <br>이들은 대부분 임기를 정상적으로 마쳤거나 현재도 재직 중입니다. <br> <br>김은경 전 장관과 신미숙 전 청와대 균형인사비서관은 재판 과정에서 <br> <br>인사 개입은 이전 정부에도 있던 관행이라고 강조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1심 재판부는 설령 있었다고 하더라도 타파돼야 할 불법적 관행이라고 지적했습니다. <br><br>채널A 뉴스 정현우입니다. <br> <br>edge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홍승택 <br>영상편집 : 차태윤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