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한 해 수십억 원 부어도…백사장 ‘실종’ 원인은?

2021-02-12 3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지난 여름 전국에서 가장 많은 피서객이 몰린 해수욕장으로 부산 송정 해수욕장이 꼽힙니다. <br> <br>그런데, 이 곳의 백사장 모래가 매년 빠른 속도로 사라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부산 지역 다른 해수욕장도 마찬가지라는데,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걸까요. <br> <br>배영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부산 기장군의 해수욕장 <br> <br>백사장 폭이 20m도 채 되지 않습니다. <br><br>열다섯 걸음만 걸어도 끝이 닿을 정도입니다. <br> <br>이 해수욕장은 해양수산부 해안 침식 조사에서 심각단계인 D등급을 받았습니다. <br> <br>[변삼선 / 부산 기장군] <br>"조금만 파도치면 우리 집까지 올라와요. 모래가 없으니까요. 앞에 막아준다고 했는데 언제 막아주겠어요." <br> <br>[황복녀 / 부산 기장군] <br>"태풍 치면 물 들어와서 난리 납니다. 태풍 오면 아들 집으로 갑니다. 피난 갑니다.“ <br> <br>인근 송정 해수욕장도 마찬가지입니다. <br> <br>[배영진 기자] <br>"몇 년 전만 해도 넓은 백사장을 자랑했던 송정은 연안 개발로 인해 해안선이 육지 쪽으로 점점 좁아지고 있습니다."<br><br>방파제와 호안 도로를 만든 뒤 침식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2015년만 해도 보통 수준인 B등급을 유지했지만 1년 뒤 우려 수준인 C 등급으로, <br> <br>지난 2019년엔 심각 수준인 D등급까지 떨어졌습니다. <br> <br>부산지역 9개 해수욕장 중 C와 D등급을 받은 곳은 7곳, <br> <br>보통인 B등급은 2곳에 불과합니다. <br><br>백사장을 지키기 위해 해양수산부는 오는 2029년까지 1천4백억 원 예산을 들여 모래를 공급하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돈 먹는 하마가 될 것이란 우려도 만만치 않습니다. <br> <br>해안 침식이 심각했던 해운대의 경우 5년 간 90만 톤의 모래를 쏟아부었습니다. <br> <br>15톤 화물차 5만9천 대 분량으로 쓴 예산만 430억 원입니다. <br> <br>현재 B등급을 유지하고 있지만 자연적인 모래 감소는 막지 못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[임학수 /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박사] <br>"토사 이동이나 해안 침식에 대한 원인 규명 없이 일반적인 방법으로 인공 구조물을 설계하고 시공하니까 침식 피해가 계속 나타났던 거 같아요." <br> <br>백사장이 줄면 재해로부터 보호해 줄 완충지대도 사라집니다. <br> <br>태풍이나 해일 등 피해도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배영진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김현승 <br>영상편집 : 구혜정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