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난 1954년 이후 한미 양국은 매년 연합 훈련을 통해 연합 방위 태세를 확고히 유지해 왔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 명칭과 방식은 안보 상황에 따라 계속 바뀌어 왔는데요, 올해는 어떨지 관심입니다. <br /> <br />보도에 이승윤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한미 연합 훈련은 크게 두 가지입니다. <br />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모의 전장 상황에서 지휘관과 참모가 전쟁 수행 절차를 익히는 전반기와 후반기의 지휘소 훈련, <br /> <br />실제 훈련장에서 한미 장병들이 행동 절차를 익혀 연합 작전 수행 능력을 키우는 야외 기동 훈련으로 구분됩니다. <br /> <br />1953년 정전협정 체결로 미군 철수가 본격화되자 군사 대비 태세 확립을 위해 1954년부터 후반기 지휘소 훈련인 '포커스 렌즈'가 시작됐고, <br /> <br />1976년 '을지 포커스 렌즈', 2008년 '을지 프리덤 가디언', 2019년 '후반기 연합 지휘소 훈련'으로 명칭이 바뀌었습니다. <br /> <br />야외 기동 훈련은 1961년 독수리 훈련을 시작으로 베트남전 이후 1976년 '팀스피리트 훈련'이 추가됐습니다. <br /> <br />1994년 북미 제네바 합의로 종료된 팀스피리트 훈련을 대체하기 위해 전반기 지휘소 훈련인 '연합 전시 증원 연습'이 1995년 시작돼 2002년엔 독수리 훈련과 통합됐고, 2008년부턴 '키 리졸브 훈련'과 '독수리 훈련'으로 명칭이 바뀌었습니다. <br /> <br />2019년부턴 전반기 지휘소 훈련이 야외 기동 훈련과 분리돼 이름도 '동맹'으로 바뀌었고, 지난해 '전반기 연합 지휘소 훈련'으로 또 명칭이 바뀌었습니다. <br /> <br />한미는 일단 올해 전반기 연합 지휘소 훈련을 실시한다는 방침입니다. <br /> <br />[부승찬 / 국방부 대변인 : 연합 지휘소 훈련을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한미가 코로나19 상황 등을 고려해 긴밀히 협의 중에 있다는 점을 말씀드리겠습니다.] <br /> <br />2019년부터 연대급 이상 대규모 야외 기동훈련은 한미가 따로 하지만, 대대급 이하는 계속 연합훈련을 실시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코로나19로 지상훈련이 큰 폭으로 줄었던 지난해처럼, 한미연합훈련은 지난 60여 년간 남북관계와 외부 변수에 영향을 받아왔습니다. <br /> <br />다음 달 한미연합훈련에 관심이 집중되는 것도 여기에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YTN 이승윤[risungyoon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10213221808612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