영국·남아공에 이어…미국 자생 변이 코로나19 출현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미국에서도 자체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영국과 남아프리카공화국, 브라질에 이어 세계 4번째인데, 백신 접종만으로는 확산 차단에 한계가 있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옵니다.<br /><br />방주희 PD가 전해드립니다.<br /><br />[리포터]<br /><br />루이지애나 주립대 등이 참가한 연구팀이 미국 전역에서 7개 종류의 코로나19 변이를 발견했다고 발표했습니다.<br /><br />연구에 참여한 제레미 카밀 교수는 변이 코로나19가 전염력이 더 강한지 판단할 수 없지만 인간 세포 침투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자에서 변이가 발생해 우려스럽다"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다만 미국 내 1% 미만의 코로나19 샘플에서 유전자를 분석했기 때문에 변이 바이러스가 주종으로 자리 잡았는지는 확인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뉴욕타임스는 전했습니다.<br /><br />미국에서는 현재 영국발 변이 코로나19가 급속하게 확산하며 3월에는 신규 확진자와 사망자가 늘어날 수 있다는 질병통제예방센터의 예측이 나온 바 있습니다.<br /><br />영국발 변이 코로나19에 미국 자체 변이 바이러스까지 발견되면서 보건 당국도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코로나19 백신 접종과 함께 신규 확진자가 급격하게 줄었고, 이에 따라 새 학기부터 대면 학교 수업의 확대도 추진 중이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특히 마스크 착용이나 거리두기가 느슨해진 상황에서 변이 바이러스가 확산할 경우 그동안의 방역 노력이 물거품이 될 가능성도 제기됩니다.<br /><br />관련 연구가 진행될수록 변이 바이러스는 전염력과 치명도가 높아 위협적인 것으로 나타나면서 확산세 상승이 우려되는 상황.<br /><br />현재 접종 중인 백신이 미국발 변이 바이러스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는 아직 나오지 않아 백신 접종으로는 확산 차단이 어려워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방주희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