올해 들어 수출이 늘며 경기 부진이 일부 완화 되고 있지만, 고용 상황은 여전히 어둡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중소기업과 20대 등 특정 취약계층에 피해가 집중되는 'K자 양극화 성장'이 현실화하고 있어 우려는 더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김태민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코로나19 사태가 1년을 넘기는 동안 고용지표는 과거 IMF 외환위기 이후 최악의 상황에 직면했습니다. <br /> <br />취업자와 실업자 수는 물론 주당 근로시간으로 따지는 일자리 질 역시 지난 1998년 이후 가장 좋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충격은 특정 업종과 세대에 집중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달 숙박·음식점업과 도·소매업 직종에서만 취업자가 58만5천 명 줄었고 20대와 50대 비중이 전체 절반을 넘겼습니다. <br /> <br />이 밖에도 지난해 대기업 취업자는 12만 명 증가한 반면, 300인 미만 중소기업 취업자는 110만 명 줄면서 그 차이가 두드러졌습니다. <br /> <br />이처럼 매섭게 몰아치는 고용 한파 속에서도 우리 경제는 수출 호조에 힘입어 회복세를 보이면서 고용 없는 'K자 양극화 성장'이 현실화하고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 KDI의 설문 결과, 경제전문가들은 올해 전체 취업자 수도 5만 명 증가에 그치며 고용부진이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습니다. <br /> <br />[성태윤 / 연세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: 산업 간 부문 간 양극화가 진행되는 것으로 보이고요, 수출 품목의 개선은 특히 고용부문과 크게 연관되지 않은 쪽에서 이뤄지고 있어서 경제성장률의 전반적인 개선에도 불구하고 고용 사정의 악화는 지속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.] <br /> <br />이에 따라 정부는 추경을 통해 일자리 지원을 강화하고 90만 개 이상의 공공 일자리를 만들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근본적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민간 투자와 일자리 활성화를 위한 추가 대책이 관건으로 꼽히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최저임금이나 근로시간 탄력적용 등의 규제 완화가 이어질 수 있을지 주목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태민[tmkim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10217032708028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