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말도 많았던 4차 재난지원금.<br> <br>기획재정부가 12조 원까지 감당할 수 있다, 이렇게 가닥을 잡으면서 당정이 본격적인 조율에 들어갔습니다. <br> <br>그렇다면 누구에게 얼마나 돌아갈까 소상공인에게 최대 500만 원까지 주는 방안을 검토 중입니다. <br> <br>김철웅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더불어민주당과 기재부는 4차 재난지원금을 넓고 두텁게 주는 것까진 합의를 봤습니다. <br><br>3차 지원금 때 유흥업소와 헬스장 등 집합금지 업종에 최대 3백만 원까지 지급했던 금액을 5백만 원 정도로 늘리는 방안이 논의 중입니다. <br> <br>식당과 카페 같은 영업제한 업종도 2백만 원에서 최대 4백만 원까지 늘려 지원하는 방안이 검토 중입니다.<br> <br>그동안 지원 대상에서 빠져있던 노점상과 폐업자 등 사각지대에도 1백만 원씩 추가로 지급하는 안이 논의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문제는 전체 추경 예산 규모입니다. <br><br>기재부는 4차 재난지원금과 일자리 예산, 백신 접종을 위한 예비비까지 전체 12조 원을 제시했고 <br> <br>민주당은 20조 원을 하한선으로 맞서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[김종민 /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(TBS 라디오)] <br>최소한 20조 이상은 필요하죠. 지난번 규모가 한 9조 정도 됐었는데,3차 재난지원금은 그것보다는 훨씬 더 크게 늘어나야 된다. <br> <br>민주당은 늦어도 다음 주까지 기재부와 논의를 마무리한 뒤 3월 초에는 추경안을 확정하겠다는 방침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철웅입니다. <br> <br>woong@donga.com <br>영상편집 : 최동훈