하버드대 석·박사 출신의 한국학 전문가인 마크 피터슨 브리검영대 명예교수가 램지어 하버드대 교수의 '위안부 비하' 논문에 대해 조목조목 반박했습니다. <br /> <br />피터슨 교수는 문화체육관광부 해외문화홍보원이 운영하는 코리아넷 홈페이지에 '위안부, 다시 한국을 자극하는 일본'이란 제목의 칼럼을 기고했습니다. <br /> <br />피터슨 교수는 이 칼럼에서 "램지어 교수는 피해자들이 어떻게 강제로 또는 속아서 위안부가 됐는지에 대해서는 비중 있게 다루지 않았고, 변호사들만 읽을 수 있는 법적인 주제로만 국한했다"고 비판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한 "램지어의 논문은 국가가 허가한 유곽에서 이뤄진 매춘에 관한 법적인 문제에 대해서만 논할 뿐, 위안부에 대해 포괄적으로 논하려 하지 않는다"고 지적했습니다. <br /> <br />피터슨 교수는 또 일제의 난징대학살을 언급하면서 "일본군은 전투를 치른 뒤 여자들을 강간하고 사람들을 죽이며 난동을 부렸고, 일본 정부가 자국 병사들의 성욕 해소를 위한 수단으로 위안소 운영을 강화하게 됐다"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그는 "램지어의 논문은 문제를 단편적으로 보고 있기 때문에 굉장한 폐해를 낳고 있다며, 일본에 대한 한국의 오랜 반감, 불신, 증오에 불을 질렀다"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피터슨 교수는 또 램지어 교수의 공식 직함이 '미쓰비시 일본 법학 교수'이고, 일본에서 유소년 시절을 보냈으며 2년 전에는 일본 정부 훈장인 '욱일장'을 받았다는 점도 지적했습니다. <br /> <br />피터슨 교수는 "램지어는 일본 사람이 아니지만 어느 누구보다 열심히 일본을 대내외적으로 홍보해 왔다며, 이번에는 하버드 법대에서 나온 논문으로 일본의 입장을 두둔하며 다시 한국의 상처에 소금을 뿌렸다"라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일본 정부의 행태와 관련해서도 "위안부 문제를 부정하는 입장을 고집해왔고 매번 상처가 채 아물기도 전에 딱지를 떼어내 버린다며, 일본은 전범 국가로서 보여야 할 사죄와 동정과는 멀찍이 거리를 두고 있다"고 비판했습니다. <br /> <br />1987년 하버드 대학에서 동양학 박사 학위를 받은 피터슨 교수는 브리검영 대학에서 30년 이상 한국학을 가르쳤습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6_20210218142520578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