北, 사이버 전사 6,800명…영재학교서 해커 육성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미국 법무부가 13억 달러를 해킹한 혐의로 북한 해커 3명을 기소하면서 북한의 사이버전 인력 규모에 관심이 쏠립니다.<br /><br />또 해커를 어떤 교육기관에서 양성하는지, 그리고 북한 해커들의 주요 활동무대가 어디인지도 궁금한데요.<br /><br />지성림 기자가 정리했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북한의 '사이버 전사'는 대부분 정찰총국 산하 사이버전지도국, 이른바 '121국' 소속입니다.<br /><br /> "우리 군은 북한이 6,800여 명의 사이버전 인력을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."<br /><br />하지만 국방부가 이번에 밝힌 북한 사이버전 인력 규모는 6년 전 국정원이 국회 정보위원회에 보고했던 수치와 같습니다.<br /><br />당시 국정원은 해킹 전담 조직은 6개에 1,700명, 해킹 지원 조직은 17개에 5,100명이라고 보고했습니다.<br /><br />북한이 매년 해커를 육성해내는 만큼 실제 사이버 전력 규모는 국방부가 밝힌 것보다 훨씬 더 많을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실전에 투입되는 해커들은 해킹이 북한 소행이라는 것을 감추기 위해 중국을 비롯한 외국에서 주로 활동합니다.<br /><br />미 국방부가 지난해 내놓은 '북한 전술 보고서'에 따르면 북한 해커들은 중국 외에도 벨라루스와 인도, 말레이시아, 러시아 등지에서 활동합니다.<br /><br />북한은 1980년대 후반부터 군 총참모부 산하 김일자동화대학에서 사이버전 인력 양성을 시작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1990년대 후반부터는 수학과 과학에 재능 있는 어린이를 선발해 평양의 영재학교인 금성제1중학교와 금성제2중학교 '컴퓨터 수재반'에서 체계적으로 키웠습니다.<br /><br />북한 해커 중에는 과학영재학교인 평양제1중학교 출신도 다수 있습니다.<br /><br />컴퓨터 영재들은 중학교를 졸업하고 김일성종합대학과 김책공업대학 등에 진학하거나 군복을 입고 김일자동화대학과 정찰총국 산하 모란봉대학에서 집중적으로 해킹 교육을 받습니다.<br /><br />이들 중에서 선발된 우수한 해커들은 북한과 가까운 중국 선양 등지에 나가 실전훈련을 하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지성림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