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어제에 이어 오늘도 600명 대의 확진자가 나왔습니다. <br> <br>특히 밀폐되고 밀집되고 밀접한 작업장들에서 확진자가 쏟아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주간 평균 확진자 규모도 다시 거리두기 2.5단계 기준을 넘겼습니다. <br> <br>잠시 풀렸던 방역기준이 다시 강화될 위기 상황입니다.<br> <br>황규락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한꺼번에 100명 넘는 확진자가 나온 경기 남양주의 플라스틱 공장. <br><br>어제 이후 공장 근로자 4명과 가족 3명, 산단 내 다른 공장 근로자 1명 등 8명이 추가로 양성 판정을 받았습니다. <br> <br>첫 확진자가 발열 등의 증상을 느낀건 지난 11일이지만 이보다 먼저 증상이 나타난 직원들이 있었던 걸로 조사됐습니다. <br> <br>[곽진 / 중앙방역대책본부 환자관리팀장] <br>"지표환자 자체 문제보다는 그 이전부터 어떤 코로나의 감염이 해당 집단 내에 존재했었을 것으로 보고 발견에 대한 문제가 있지 않았을까…" <br> <br>방역당국은 기숙사와 식당 화장실 등 공용공간 관리가 미흡했던 걸로 보고 환경 검체를 채취해 분석하고 있습니다. <br><br>올들어 충남 귀뚜라미 보일러 공장, 서울 순천향대병원 등 대규모 사업장의 집단감염이 잇따르는 상황.<br> <br>정부는 사업장에 대한 집중 점검을 벌이고 수칙 위반이 적발되면 구상권 청구를 검토하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[권준욱/중앙방역대책본부 부본부장] <br>"공용공간에서의 3밀 환경, 작업장 내에서 소음환경 때문에 큰소리로 대화함으로써 비말이 발생하는 점…." <br><br>확진자 수는 이틀 연속 6백명을 넘었고, 주간 평균 확진자 수도 거리두기 2.5단계 기준인 400명을 넘었습니다. <br><br>정부는 다중이용시설의 집합 금지를 최소화하고 5인 이상 모임금지를 포함시키는 새로운 거리두기 개편안의 초안을 공개할 계획이지만, 유행의 재확산 조짐이 보이는 상황이어서 당초 3월로 밝혔던 적용시기는 미뤄질 가능성 커졌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황규락입니다. <br> <br>rocku@donga.com <br>영상편집 : 이희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