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달부터 해외 백신 접종이 시작되면서, 국산 백신이 언제 개발될지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해외 업체보다는 늦었지만, 국내에서도 다양한 방식의 백신이 개발되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국내 백신 개발 현황, 이성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코로나19 백신을 개발하고 있는 국내의 바이오 기업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달 고대구로병원과 함께 임상 1상 시험을 시작했고, 3월에는 2상 시험, 8월에는 조건부 허가 신청을 계획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국내 개발 백신은 해외 백신보다 임상시험 진행 속도는 많이 늦었지만, 1회 접종이라는 장점이 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인간을 감염시키는 감기 바이러스를 운반체로 활용하는 방식을 채택해 백신 전달 효율이 높은 것도 강점입니다 <br /> <br />[강창율 / 셀리드 대표이사 : 저희 벡터(바이러스 운반체)는 사람에게 감염하는 바이러스를 기반으로 만들었습니다. 그 벡터를 인체에 투여했을 때 실제로 인체 세포에 침입하는 능력에서 차이가 나고….] <br /> <br />이밖에 SK바이오사이언스와 유바이로직스도 단백질을 이용한 백신 임상 1상 시험을 진행 중이고, 제넥신과 진원생명과학도 DNA 백신 임상 1상 시험을 진행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정도라면 기업마다 차이는 있지만 연말쯤에는 국산 백신 데이터가 나오고, 내년 상반기쯤 상용화가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[제롬 김 / 국제백신연구소 소장 : 한국의 백신 개발은 전 세계적인 백신 개발보다 다소 늦었다고 생각합니다. 한국 백신의 안전성과 효능에 대한 데이터는 올해 말쯤 가능할 것으로 전망합니다.] <br /> <br />일부에서는 정부의 계획대로 올해 11월 집단면역이 형성되면 국산 백신이 상용화되더라도 너무 늦다는 의견이 적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변이 바이러스가 꾸준히 나오고 해마다 겨울철을 중심으로 재유행 가능성이 큰 만큼, 어떤 형태로든 국산 백신이 개발돼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입니다. <br /> <br />YTN 사이언스 이성규[sklee95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5_20210219140552959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