구글과 페이스북 등 거대 디지털 플랫폼 업체에 뉴스 콘텐츠 사용료 지불을 강제하는 법안을 추진하고 있는 호주에서 구글과 페이스북이 정반대의 행보를 보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페이스북은 뉴스 서비스 중단을 선언했고 구글은 호주 주요 언론사들과 협상을 이어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여진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호주에서 접속한 페이스북 화면입니다. <br /> <br />호주 매체뿐 아니라 로이터 통신과 CNN 등 해외 언론사 뉴스까지 뜨질 않습니다. <br /> <br />페이스북이 호주에서 뉴스 서비스를 중단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호주 정부는 구글과 페이스북이 호주 온라인 광고 매출의 53%와 23%를 가져가고 있다며 이들에 대한 뉴스 콘텐츠 사용료 지불을 강제하는 법안을 추진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스콧 모리슨 / 호주 총리 : 페이스북에 '여긴 호주야, 여기서 장사하고 싶어? 그러면 우리 규칙에 따라'라고 말하고 싶네요.] <br /> <br />하지만 페이스북은 "언론이 기사를 자발적으로 올렸고, 이를 통해 오히려 호주 언론이 지난해 4억7백만 호주 달러, 약 3천5백억 원을 벌어들였다며 맞서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반면 구글은 법이 통과될 경우 위협이 될 만한 호주 매체들과 사용료 협상을 벌여 '세븐 웨스트 미디어'와 루퍼트 머독이 소유한 뉴스코퍼레이션 소속 언론사엔 사용료를 내기로 합의했습니다. <br /> <br />구글이 철수할 경우 호주 법안을 지지하는 마이크로소프트의 검색 엔진 '빙'이 그 자리를 차지하게 될 거라는 호주 정부의 경고가 한몫한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한편 BBC는 매달 호주인 천7백만 명이 페이스북을 방문할 정도로 사용이 많아 페이스북의 뉴스 서비스 중단은 호주인의 분노를 불러일으키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. <br /> <br />[재클린 클라크 / 호주 시드니 거주 : 페이스북이 뉴스를 금지하는 건 사실 끔찍하다고 생각해요. 저도 페이스북을 이용하고 있는데요. 모든 소식을 한 자리에서 알 수 있어서 만능인 것 같고. 그래서 저한테 큰 영향을 미칠 거예요.] <br /> <br />구글과 페이스북의 엇갈린 행보가 다른 나라의 뉴스 사용료 논란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자칫 거대 미디어 기업에만 혜택이 돌아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이여진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10221020044900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