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손영래 / 중앙사고수습본부 전략기획반장] <br />2월 21일 일요일 정례브리핑을 시작하겠습니다. <br /> <br />오늘 0시 기준으로 국내 발생 환자는 391명입니다. <br /> <br />어제 네 분의 환자가 사망하셨습니다. <br /> <br />삼가 고인의 명복을 빌고 유가족분들에게도 심심한 조의의 말씀을 드리겠습니다. <br /> <br />2월 14일부터 20일까지 한 주간의 환자 발생과 유행 상황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일주일간 국내 환자 발생은 하루 평균 455명입니다. <br /> <br />그 직전 주의 382명보다 크게 증가한 수준입니다. <br /> <br />지역적으로 수도권은 337명으로 그 직전 주의 282명보다 크게 증가하였습니다. <br /> <br />수도권은 3주 연속 환자 발생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설 연휴 이후 매일 300명에서 400명대의 많은 환자가 발생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비수도권은 하루 118명으로 직전 주의 100명에 비해 환자 발생이 증가하였습니다. <br /> <br />충청권에서 발생한 사업장 집단감염 등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감염재생산지수는 전국적으로 1.1 내외까지 상승하였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수도권 감염재생산지수도 1.1에 근접하고 있어 수도권에 유행 확산 추이가 계속되고 있는 점은 우려할 지점입니다. <br /> <br />감염 양상에 있어서도 다양한 생활공간에서의 감염이 발생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우선 사업장에서의 집단발생이 증가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3밀 환경의 제조업과 외국인 근로자 등에서 집단감염이 계속 발생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또한 가족, 지인 모임과 다중이용시설 등의 지역 집단감염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거리두기 완화와 설 연휴로 인한 영향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환자는 증가하고 있으나 의료체계 여력은 현재 충분한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즉시 가용 가능한 중환자실의 경우 전국적으로 540여 병상의 여유가 있으며 준중환자실도 220개 이상 비어 있습니다. <br /> <br />중등도 경증환자를 위한 감염병전담병상과 생활치료센터는 전국적으로 1만여 병실 이상의 여유를 확보하고 있는 중입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이번 주의 상황을 예의주시하며 필요한 경우 거리두기 단계 및 방역조치 등의 조정을 검토할 것입니다. <br /> <br />현재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3차 유행이 더 확산되지 않고 다시 감소세를 보일 수 있도록 국민들께서도 함께 협력해 주시기를 당부드립니다. <br /> <br />특히 수도권의 경우 일상생활에서의 감염 위험이 계속 커지고 있는 만큼 밀폐된 공간에서의 다수 사람들이 밀집하는 장소의 이용을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replay/view.php?idx=21&key=20210221164841939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