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월 동시다발 산불 이례적…건조한 날씨·강풍 겹쳐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이번 산불은 영남지역뿐만 아니라 충청, 강원 등 전국에 걸쳐 동시다발로 발생했습니다.<br /><br />보통 2월에는 산불이 많이 발생하지 않는데, 올해는 따뜻한 날씨가 일찍 찾아온 데다 건조한 대기와 강풍까지 겹쳐 피해가 커졌다는 분석이 나옵니다.<br /><br />보도에 고휘훈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21일부터 이틀 동안 전국에서 발생한 산불은 5건.<br /><br />축구장 면적으로 치면 400여 개에 달하는 산림이 불에 탔습니다.<br /><br />투입된 진화 헬기만 70여 대에 이르고, 수천 명에 달하는 인력도 진화 작업에 나섰습니다.<br /><br />2월에 전국 동시다발적으로 산불이 발생한 건 이례적입니다.<br /><br /> "2월에 대형산불이 발생하고, 야간 산불로 전국적으로 5건이 발생한 사례는 처음 있는 일입니다."<br /><br />산림청에 따르면 지난 10년 동안 발생한 산불은 4,700여 건.<br /><br />이 중 2월에 발생한 건은 524건에 불과했고, 절반가량인 2,300여 건이 3~4월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산림 당국은 대기가 매우 건조한 상태에서 바싹 마른 나무가 빠르게 타들어 가 불이 커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실제로 나무의 건조 상태를 나타내는 실효 습도가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50%를 밑도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특히 피해가 큰 경북 지역의 경우 30∼40%대를 기록했습니다.<br /><br />요즘같이 대기가 매우 건조할 때는 작은 불씨도 이렇게 큰 화재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.<br /><br />돌풍에 가까운 바람, 그리고 완연한 봄에 가까운 날씨까지 이어지면서 동시다발적 산불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됩니다.<br /><br /> "겨울철은 아무래도 온도도 낮고, 눈도 내리고 하기 때문에 산불 발생 위험은 작지만, 이제 서서히 봄철에 들어가서 건조해지기 때문에 화재 발생 위험이 상당히 커지죠."<br /><br />전문가들은 요즘같이 건조한 날이 계속될 경우 불씨 관리를 잘해야 하며 특히, 산간 마을의 경우 폐기물 소각이나 논두렁 태우기 등의 행위를 자제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고휘훈입니다. (take5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