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국에서 비행 중이던 여객기 엔진 고장으로 파편이 쏟아져 내린 사고는 '금속 피로'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는 예비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보잉은 두 차례 추락 사고를 일으킨 737 맥스 기종이 최근 20개월 만에 가까스로 운행 재개를 허락받았지만 777기종과 747기종에서 파편이 떨어지면서 연이은 악재에 시달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여진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 20일 미국에서 운항 중이던 기체 파편이 주택가로 떨어져 내린 보잉 777기의 엔진 고장 원인이 '금속 피로'인 것으로 추정된다고 미국 교통안전위원회가 예비 조사 결과를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금속 피로란 금속에 반복적인 힘이 가해져 강도가 떨어지는 현상입니다. <br /> <br />[로버트 섬월트 / 미국 교통안전위원회 회장 : 현재 현장 예비 검사에서 부러진 팬 날개를 봤을 때 '금속의 피로'와 일치하는 손상이 관찰됩니다.] <br /> <br />같은 날 네덜란드에서 같은 회사 엔진이 장착된 보잉 747기에서도 파편이 떨어져 2명이 다친 사고에 대해서는 아직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2018년과 2019년 두 차례 추락 사고를 일으킨 보잉 737 맥스 기종은 최근 20개월 만에 가까스로 운항이 재개됐습니다. <br /> <br />두 번의 추락 사고로 346명이 목숨을 잃었고, 보잉은 737 맥스 운항 중단으로 200억 달러, 우리 돈 22조 2천억 원 이상의 비용을 치렀습니다. <br /> <br />CNN은 보잉이 올해 3년 연속 적자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. <br /> <br />코로나19로 국제 여행이 줄면서 이중통로가 있는 대형 항공기 수요가 줄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보잉은 이중통로 여객기 시장에서 우위를 점한 반면, 경쟁사인 에어버스는 단일통로 기종에서 앞서 나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사상 최대 적자를 낸 보잉은 만2천여 명의 인력 감축안을 내놓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[아담 필라르스키 / 아비타스 항공 분석가 (지난해 4월) : 지금 당장 보잉사는 생산량을 상당히 줄여야 합니다. 감축 폭이 늘더라도 전혀 놀랍지가 않을 겁니다.] <br /> <br />한때 안전의 선두주자로 인정받았던 보잉이었지만, 심각한 안전 문제가 잇따라 노출되면서 기업 이미지에 타격이 불가피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YTN 이여진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10223180702036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