안방까지 내줄 판에…소송 끝나도 LG·SK 협상 답보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미국에서 벌어진 LG 에너지솔루션과 SK이노베이션 간 전기차 배터리 소송이 LG의 판정승으로 끝났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판결 뒤에도 합의금을 둘러싼 협상은 여전히 진전이 없습니다.<br /><br />글로벌 경쟁은 격화하는데 안방 싸움으로 인한 불확실성이 더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김지수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LG와 SK 간 협의에 진전이 없는 이유는 합의금을 둘러싼 견해차가 너무 크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LG의 요구액이 3조 원을 넘는 데 반해, SK는 8,000억 원 미만을 희망하고 있다는 게 업계 관측입니다.<br /><br />예상과 달리, 미 국제무역위원회 ITC 분쟁에서 진 SK가 강하게 나오는 이유는 아직 시간 여유가 있다는 판단에서입니다.<br /><br />이미 수주한 폭스바겐, 포드 공급분은 2년, 4년씩 수출 금지 유예를 받은 만큼, 건설 중인 미국 조지아 공장을 가동하며 장기 협상도 가능하다는 겁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상황은 SK에 썩 유리하지 않습니다.<br /><br />우선,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 기한이 40여 일 남았지만, 이미 유예기간을 줘 실질적 피해가 없는 미국 입장에서 행사 가능성은 낮습니다.<br /><br />항소로 결정을 뒤집기도 어렵습니다.<br /><br />2010년 이후 ITC 결정이 연방항소법원에서 바뀐 사례는 한 번도 없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이런 상황에서 세계 전기차 배터리 시장 경쟁은 격화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자국 시장을 기반으로 1위를 탈환한 중국 CATL은 현대차 납품권을 따내는 등 우리 안방까지 위협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두 기업이 하는 것보다 한 기업이 하는 게 우리의 마켓쉐어를 감소시키는 영향이 되고요. 그 감소된 부분에 중국 기업들이 들어오겠죠."<br /><br />LG 역시 코나 전기차 화재로 인한 부담 해소와 상장 추진이 필요한 만큼, ITC가 SK의 패소 사유를 명시한 결정문을 공개하면 협상이 속도가 붙을 것이란 관측도 나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지수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