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스라엘 인구 48%, 코로나19 백신 1차 접종 완료 <br />이스라엘 인구 33%, 코로나19 백신 2차 접종 완료 <br />이스라엘 총리실 "남는 백신 물량, 타국 제공"<br /><br /> <br />전 세계에서 백신 접종에 가장 앞서고 있는 이스라엘이 남은 백신 물량을 다른 나라에 제공하겠다는 뜻을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백신 공급이 예루살렘 대사관 유치를 목적으로 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돼 백신이 외교적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는 논란이 일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조수현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이스라엘에서는 지금까지 전 국민의 절반가량이 코로나19 백신을 맞았습니다. <br /> <br />전체 인구 930만 명의 48% 해당하는 446만 명이 1차 접종을 마쳤습니다. <br /> <br />2차 접종까지 마친 인원도 인구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307만 명으로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이스라엘 국립 구급 기관이 적극적으로 나서면서 접종에 더욱 속도가 붙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예후다 벤 아브라햄 / '마겐 다비드 아돔'(국립 구급기관) 긴급의료원 : 전체 인구 접종을 위해 전국적으로 백신 밴 차량을 운영하며 대대적인 접종 작전을 펼치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이스라엘 총리실은 자국의 접종이 마무리되면, 백신 보유량 가운데 일부를 팔레스타인과 다른 몇몇 나라에 제공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서, 이미 수천 회 분량이 요르단 강 서안으로 향했다고 덧붙였습니다. <br /> <br />백신 제공 대상 국가로는 온두라스와 체코, 과테말라 등이 거론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이번 백신 제공이 이들 세 나라의 대사관을 예루살렘에 유치하는 목적으로 한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로이터통신은 이들 세 나라 모두 트럼프 행정부 당시 미국이 이스라엘의 수도로 인정하고 대사관을 이전한 예루살렘에 대사관 설치 의향을 보였던 국가들이라고 보도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대해 이스라엘 정부는 침묵을 지키고 있는데, 백신이 정치 외교적 목적을 이루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논란이 일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YTN 조수현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10224140833798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