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어떻게 이런 일이 벌어진 걸까요. 이 사건 취재해온 사회부 조영민 기자와 깊숙이 짚어 보겠습니다. <br><br>Q1. 피해자가 사망 전 112 신고 때 이야기했던 피의자 이름이 바로 출동한 경찰에 전달됐다면, 소중한 목숨을 살릴 수도 있지 않았을까.이 생각을 안 할 수가 없습니다.<br> <br>사건 당일인 지난 17일 상황을 시간대별로 정리했습니다. <br><br>112신고가 접수된 시각이 오전 0시 49분. <br> <br>경찰이 신고 녹취를 다시 듣고 가해 남성 이름을 확인한 게 새벽 1시 27분입니다. <br> <br>이후 13분 만에 피의자 집으로 출동해 살해범을 검거했는데, 최초 신고 내용이 제대로 현장에 전달 안 돼 허비된 시간, 112신고부터 녹취 재확인까지의 38분이나 됐습니다. <br><br>Q2. 그런데 당시 112 신고 받은 사람은 왜 그 가해자 이름을 빠뜨렸다고 하나요? <br><br>오늘 기자들도 경찰에게 왜 피해자가 말한 가해자 이름이 전달이 안 됐나, 신고 당시 가해자 이름이 잘 안 들렸나 물었는데요. <br><br>오늘 경기남부경찰청은 신고 음성이 "뚜렷하지도 흐릿하지도 않다" "들으려고 하면 들을 수도 있었는데 발신자 위치추적 같은 다른 통신수사를 병행하다 보니까" 놓친 것 같다고 해명했습니다. <br><br>Q3. 이름을 몰랐다하더라도 짚어볼 부분이 하나 더 있는데요. 경찰은 피해자 휴대폰에 GPS가 꺼져 있어서, 위치 추적을 못 했다고 처음 설명했잖아요? <br><br>네 경찰도 저희가 처음 취재를 시작했을 때 그렇게 설명했었는데요. <br> <br>들어보시죠. <br> <br>[경찰 관계자] <br>"피해자가 GPS만 켜놨어도 우리가 바로 그 (사건 발생) 장소가 특정되는데 GPS는 10m 반경을 좁혀줘요. 그런데 그걸 안 하니까 GPS 안 켜놓으니까 와이파이로 뜨니까 그거는 수십 미터에서 100m 이상까지도 차이 나서…" <br><br>Q3-1. 그런데 이 최초 설명도 사실과 달랐죠?<br> <br>지난 2012년 수원에서 20대 여성이 살해된 '오원춘 사건' 이후 긴박한 상황으로 112신고가 접수되면 통신사 도움을 받아서 꺼져있는 신고자의 GPS 신호를 강제로 켤 수 있게 됐다고 합니다. <br> <br>저희가 통신사에 직접 확인한 결과 앞서 들으신 경찰 설명과 달리 사건 당일 꺼져있던 피해 여성의 휴대전화 GPS 신호를 원격제어로 켰다고 합니다. <br> <br>[통신사 관계자] <br>"GPS를 켰어요. 켜가지고 측위를 했는데 실패가 나온 거예요. (GPS가) 꺼져있었던 건데. 이거를 켜서, 켜가지고 GPS 측위를 시도를 했는데, 실패했어요. 실내라 측위가 안 되는 거예요." <br> <br>원격제어로 GPS 신호를 강제로 켰지만 전화기가 실내에 있어서 위치 값을 제대로 확인 못 했다는 건데요.<br><br>피해자가 전화기 GPS 신호를 꺼놔서 수색작업이 난항을 겪었다는 애초 경찰 설명과는 온도 차가 있습니다. <br> <br>경찰은 오늘 브리핑에서도 피해자 휴대전화 GPS가 꺼져있었다고 했는데, 경찰의 해명이 의혹을 해소하기보단 의문점을 늘리고 있어서 아쉽습니다. <br><br>Q4. 이렇게 보면, 경찰이 계속 뭔가 숨기려고 했던 것 아니냐는 의혹을 안 할 수가 없어요. 저희가 계속 보도를 하고 있지만, 언론이 관심을 안 가졌다면 이런 진실이 밝혀졌을까 이런 생각마저 듭니다. <br><br>오늘이 사건 발생 딱 일주일째인데요. <br> <br>신고 내용이 현장에 제대로 전달 안 돼 신고에서 숨진 상태의 피해자를 찾기까지 50분 넘게 걸렸다는 사실이 이제야 세상에 밝혀진 겁니다. <br> <br>언론의 의혹 제기가 잇따르고 유가족이 청와대 국민청원까지 올리고 나서야 경찰은 이런 잘못을 밝혔는데요. <br> <br>사랑하는 엄마를 잃은 유족의 심경을 다시 한 번 들어보겠습니다. <br> <br>[진모 양 / 피해자 딸] <br>"그날 저희 엄마 찾으려고 출동했던 21명 경찰들 모두 현장에서 이 신고 내용이 누락돼서 시간이 한참 걸렸다는 걸 알았던 거 아니에요. 그래도 모두 입 다물고 있었다는 거에 화가 나요." <br> <br>가해자에 대한 엄정한 처벌이 이뤄질지, 경찰관들에 대한 감찰은 어떤 결론이 날지 저희도 계속 취재하겠습니다. <br> <br>지금 한 말 꼭 지켜주시죠. 지금까지 조영민 기자였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