바이든 美행정부, 북한인권결의 촉구…한국의 선택은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유엔 인권이사회는 다음 달 23일까지 열리는 정기 이사회에서 북한 인권 문제를 논의합니다.<br /><br />미국은 북한인권결의에 대한 지지를 공개적으로 촉구하고 나섰는데요.<br /><br />이 때문에 2년 연속 북한인권결의 공동제안국에 불참한 한국이 이번엔 어떤 선택을 할지 주목됩니다.<br /><br />지성림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미국은 2009년 유엔 인권이사회 이사국으로 선출된 이후 이듬해부터 2018년 이사회까지 북한인권결의에 공동제안국으로 참여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인권 문제에 별로 관심이 없던 트럼프 행정부는 2018년 6월 인권이사회를 탈퇴했습니다.<br /><br />바이든 행정부 출범과 함께 3년 만에 인권이사회에 돌아온 미국은 복귀 일성으로 북한 인권을 중요하게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은 인권이사회 기조연설에서 시리아와 함께 북한을 직접 거론하며 인권결의안에 대한 지지를 전 세계에 촉구했습니다.<br /><br />블링컨 국무장관의 발언으로 미뤄 미국이 이번에 북한인권결의 공동제안국에 다시 참여할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이 나옵니다.<br /><br />매년 공동제안국에 참여해왔던 한국은 2019년과 지난해에는 공동제안국에서 빠졌습니다.<br /><br />올해도 불참이 예상됐었지만, 미국이 북한 인권을 공개적으로 거론하면서 딜레마에 빠졌습니다.<br /><br />'보편적 가치'의 관점에서 북한 인권 문제를 바라보는 바이든 행정부와 북한의 '인도주의적 위기'에 더 초점을 맞추는 문재인 정부 사이에 미묘한 시각차가 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 "인권 문제에 대한 우려가 북한의 인도주의적 상황에 대한 우리의 관심을 방해해서는 안 됩니다."<br /><br />실제로 외교부는 북한인권결의안 추진과 관련한 정부 입장이 최종적으로 결정되지 않았다면서 이 문제와 관련해 미국 등과 소통을 계속하겠다는 모호한 답변만 내놨습니다.<br /><br />다음 달부터 인권이사회에서 북한 인권 문제가 본격적으로 거론되는 만큼 정부의 고민은 점점 더 깊어질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지성림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