코로나19 장기화로 음식 숙박업 등을 중심으로 일자리가 줄면서 우리 젊은이들이 그 어느 때보다 심각한 취업난을 겪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정부가 지난해 계획했던 것보다 예산을 더 늘려 청년 104만 명을 위해 일자리 예산 5조 9천억 원을 투입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승훈 기자의 보돕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해 직업계 고등학교를 졸업한 청년 가운데, 직장을 얻은 청년은 10명 가운데 2명을 조금 넘습니다. <br /> <br />일자리가 없어 뒤늦게 입시를 준비하는 안타까운 일이 반복되고 있는 겁니다. <br /> <br />물론 가장 큰 이유는 코로나19가 불러온 갑작스러운 일자리 감소입니다. <br /> <br />현 정부 들어 조금 나아지나 싶었던 청년 고용률은 <br /> <br />코로나의 충격에 다시 휘청대고 있고, <br /> <br />그 충격을 고스란히 우리 청년들이 몸으로 받아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, 여전히 코로나는 진행 중인 데다, <br /> <br />경기가 나아진다 해도 일자리 상황이 풀리는 데는 더 시간이 필요한 만큼, <br /> <br />우리 청년이 겪는 '고통의 시간'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정부가 청년만을 위한 '특단의 대책'을 약속하고 나선 이유입니다. <br /> <br />[이재갑 / 고용노동부 장관 : 보다 적극적인 정부의 정책적 노력과 지원이 없으면 미래의 희망인 우리 청년들은 당장의 위기로 고통을 겪을 뿐만 아니라, 경기회복 후에도 경력 상실로 인한 임금 손실 및 사회적 격차라는 이중의 고통을 겪게 될 우려가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중소 중견기업이 IT 관련 일에 청년을 채용하면 인건비를 지원하는 디지털 일자리 사업 인원을, <br /> <br />처음 계획했던 5만 명에서 11만 명으로 늘리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특별고용촉진장려금도 청년 2만 명에게 먼저 지원하고, <br /> <br />생활 방역 등에서 공공 일자리 2만8천 개도 만듭니다. <br /> <br />청년 104만 명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사업이다 보니 6조 원에 가까운 예산이 투입됩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우리 기업은 여전히 신규 채용을 꺼리고 경력직을 수시 채용하는 상황이어서, <br /> <br />정부의 이런 노력이 '근본적 해결책은 안 될 것'이란 지적은 여전히 많습니다. <br /> <br />YTN 이승훈[shoonyi@ytn.co.kr]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YTN은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. <br />[카카오톡] YTN을 검색해 채널 추가 [전화] 02-398-8585 [메일] social@ytn.co.kr [온라인 제보] www.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10303184827950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