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생수나 음료수 페트병, 잘 떼지지 않는 라벨 때문에 재활용이 어렵다는 지적이 있었죠. <br> <br>그래서 이런 라벨 자체를 없앤 페트병들이 나오고 있습니다. <br> <br>조현선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퍼내도 퍼내도 쌓아도 쌓아도 줄지 않는 플라스틱 쓰레기. <br> <br>패트병 라벨도 대부분 그대로 버려집니다.<br> <br>접착제 때문에 잘 떨어지지 않아 재활용되지 않은 채 환경오염의 주범이 돼버렸습니다. <br> <br>이제 음료 업계들은 페트병이 제대로 재활용되는 방법을 모색하기 시작했습니다. <br> <br>[조현선 기자] <br>"보다 손쉬운 분리수거를 위해 아예 라벨이 없는 페트병부터 물에 녹는 라벨, 손쉽게 뗄 수 있는 접착제를 이용한 라벨까지. <br> <br>다양한 방법들이 나오고 있습니다." <br> <br>분리배출의 번거로움을 줄여주고, <br> <br>[송광의 / 서울 용산구] <br>"예전에는 브랜드명이나 이런 걸 많이 따졌는데. (무라벨 생수는) 분리수거 할 때 일일이 제거하지 않아도 괜찮고. " <br><br>환경도 보호할 수 있습니다. <br> <br>[이진서 / 서울 관악구] <br>"가볍고 싸고, 잘 썩지 않으면 (지구가) 살기 힘들 것 같습니다. 이렇게 팔면 훨씬 환경에 해가 안갈 것 같아요." <br> <br>온라인에서도 "재구매 의사가 있다"는 반응이 이어집니다. <br> <br>실제 한 대형마트에서는 지난 1월 무라벨 생수 출시 한 달 만에 매출 1억을 넘겼습니다. <br> <br>생수는 물론, 커피와 탄산음료에도 적용되기 시작한 무라벨 페트병 제품. <br> <br>유통기한은 페트병 표면이나 뚜껑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조현선입니다. <br> <br>chs0721@donga.com <br>영상취재 조세권 <br>영상편집 김민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