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‘광명·시흥’ 정보 샜나…유력 후보지로 좁혀질 때마다 매수

2021-03-04 3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이 사건의 핵심은 LH 직원들이 자신들만 알 수 있는 미공개 정보를 이용해 투기를 했느냐죠. <br> <br>이들이 부동산을 샀던 시기를 살펴봤더니, <br> <br>국토부가 후보지 검토를 하던 2018년 구매를 시작했고, <br> <br>3기 신도시 후보지가 좁혀질 때마다 추가로 사들였습니다. <br> <br>안건우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과천사업단장 출신 박 모씨가 2018년 6월 27일 부하직원 강 모 차장과 함께 처음으로 광명 시흥에 깃발을 꽂습니다. <br> <br>그리고 두 달 뒤인 2018년 9월 5일, 더불어민주당 신창현 의원이 광명 등 8곳의 수도권 신규택지 정보를 <br>유출하는 사건이 벌어집니다. <br> <br>당시 신 의원은 국토부 직원에게 받은 자료라고 해명했지만 검찰 수사까지 받았습니다. <br> <br>[김성태 / 당시 자유한국당 원내대표 (2018년 9월)] <br>"국가적 기밀사항인 수도권 택지개발계획 그 자체를 언론에 무단유포했다는 사실은 심대한 범죄행위입니다." <br> <br>박 단장이 땅을 살 무렵 이미 국토부와 LH 내부에서는 신도시 후보지 논의가 구체화됐던 겁니다. <br> <br>결국, 정부는 문제 지역을 제외하고 12월에 하남교산 등 1차 3기 신도시를 발표했고 <br> <br>이듬해 5월 고양 창릉, 부천 대장을 추가했습니다. <br> <br>광명 시흥은 계속 고배를 마셨지만 차기 유력 후보지로 오히려 선택지가 좁아지자 LH직원들의 대범한 집단 움직임이 포착됩니다.<br> <br>2차 3기 신도시 발표 직후인 2019년 6월부터 광명시흥 땅을 대거 사들이기 시작한 겁니다. <br> <br>몇몇 직원은 지난해 4월에도 추가 매수했고 3수 끝에 광명시흥은 지난 2월 6번째 3기 신도시로 선정됐습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안건우입니다. <br> <br>srv1954@donga.com <br>영상취재: 박희현 <br>영상편집: 차태윤 <br> <br>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