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천억 원 들인 돼지열병 저지 광역울타리 포기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정부가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산을 막기 위해 멧돼지가 남쪽으로 내려가지 못하도록 하는 광역울타리를 설치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효과를 거두지 못하자 환경부가 앞으로 광역울타리를 설치하지 않기로 했는데요.<br /><br />애초부터 성공 가능성이 낮은 정책이었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상현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울타리가 끝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길게 처져 있습니다.<br /><br />환경부가 아프리카돼지열병, ASF 확산 방지를 위해 설치한 광역울타리입니다.<br /><br />이렇게 설치한 울타리 길이는 경기도에서 강원도까지 1,200km에 달합니다.<br /><br />관련 예산만 1,000억 원 가까이 투입됐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효과는 미미했습니다.<br /><br />사람의 통행을 위해 중간중간 구멍을 크게 뚫어 놓다 보니 멧돼지의 이동을 막지 못했습니다.<br /><br />강원지역에서는 광역울타리 설치 이후에도 ASF 바이러스가 강릉과 영월까지 퍼져나갔습니다.<br /><br />환경부도 충청북도 근처까지 바이러스가 확산한 상황에서 더 이상의 광역울타리는 큰 도움이 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밑으로 확산되고 나서 보니까 더 이상은 치기 어렵다 이렇게 얘기가 되고 있는 것이지 울타리가 아예 필요가 없었다고 하기에는 어렵죠."<br /><br />전문가들은 전형적인 보여주기식 정책이었다며 혀를 찹니다.<br /><br />북한에서 ASF가 유입된 것으로 보고 있는데 휴전선도 넘은 멧돼지를 울타리로 막으려고 한 게 비논리적이라는 겁니다.<br /><br />더욱이 허술하게 친 울타리 안에서 총기 포획까지 진행하면서 놀란 멧돼지들이 달아나 오히려 역효과를 낳았다고 지적합니다.<br /><br /> "오염원이 어떤 요소를 통해서든 오염되지 않은 쪽으로 건너지 못하게 막는다라는 개념을 갖고 있어야지 울타리를 쳐놨으니까 돼지는 못 들어와 그럼 안전해 이렇게 생각하면 안 된다는 거죠."<br /><br />전문가들은 ASF가 사람과 동물을 통해서도 퍼져나갈 수 있는 만큼 바이러스 차단을 위한 농가 방역 시스템 구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조언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상현입니다. (idealtype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