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2017년부터 광명·시흥 토지 거래량 급증…LH가 불붙였나

2021-03-07 7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LH 직원들이 땅을 사들이기 시작한 건 2017년부터. 이때를 기점으로 광명 시흥 토지 거래량이 대폭 늘었습니다.<br> <br>우연일까요?<br> <br>이다해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LH 직원이 경기 광명시 옥길동의 맹지를 처음 산 건 지난 2017년 8월이었습니다. <br> <br>이 직원은 땅을 사자마자 용버들을 빼곡히 심었습니다. <br> <br>토지 보상은 물론 영농 보상까지 노린 겁니다. <br> <br>이 때부터 광명과 시흥의 토지 거래량은 급증했습니다. <br> <br>[경기 시흥시 공인중개사] <br>"땅을 갑자기 너무 많이 찾았어요 사람들이. 누가 소스(정보)를 줬는지 (서울) 강남 사람들도 엄청 와서 다 거의 쓸어 가고 하여튼 그랬어요." <br><br>실제로 한국부동산원 통계를 보면 광명시 토지 거래량은 지난 2016년 1천 필지도 채 안됐지만 2017년부터 급증하기 시작해 지난해 2500필지를 넘어섰습니다.<br> <br>시흥시의 경우 2017년 9천여 필지가 거래되면서 역대 최다를 기록했습니다. <br><br>정부가 3기 신도시를 조성 계획을 구체화했던 2018년에는 광명과 시흥 모두 서울 거주자의 거래 비중이 가장 높게 나타났습니다.<br> <br>내부 정보에 빠삭한 LH 직원들의 투기가 직접적으로 또 간접적으로 거래량 증가에 영향을 미쳤을 거란 분석이 나옵니다. <br> <br>[권대중 /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] <br>"더 넓게 봐야 한다는 얘기죠. 정보가 밖으로 알려져서 투자한 투기꾼들도 있을 수 있고, 일반인들도 가세해서 부동산 가격이 오르거나 거래 건수가 늘어나는…"<br> <br>지금처럼 토지 보상을 노린 투기수요가 몰리는 걸 막기 위해선 보유 기간에 따라 보상을 차별화하는 등 토지 보상제도를 손봐야 한다는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다해입니다. <br> <br>cando@donga.com <br>영상편집: 김미현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