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누구보다 백신 접종이 시급한 사람들은 확진자를 만날 확률이 가장 높은 의료진들이죠. <br> <br>그런데 응급실에서 의료진과 확진자가 접촉한 상황에서도 의료진 보호가 충분히 이뤄지고 있지 않다는 문제가 제기됐습니다. <br><br>이다해 기자가 현장 목소리를 들었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서울의 한 대학병원 응급실, 의료진들이 다급하게 심폐소생술을 진행합니다. <br> <br>다름 아닌 코로나19 의심환자. <br> <br>전신 방호복이 아닌 가운과 장갑 등의 보호장구에 의지한 채 매일 긴장상황이 이어집니다. <br> <br>[A 간호사 /대학병원 응급실 근무] <br>"목숨 걸고 일하거든요. 응급실은 하루에 몇백 명 왔다 갔다 하는데 (심할 때는) 하루 건너 한 번씩 (확진자가) 나오고. " <br> <br>주사를 놔주고 밀접 접촉을 한 환자가 확진 판정을 받아도 격리 없이 그대로 근무합니다. <br> <br>[B 간호사 /대학병원 응급실 근무] <br>"손소독을 하시는 편인가요 이렇게 물어보고 (그렇다고 하니까) 따로 격리는 필요없다고. 의료진에 대한 보호가 전혀되고 있지 않은 것 같아요." <br> <br>병원 측은 보건소 지침에 따라 격리 대상을 지정했다며 문제가 없다는 입장. <br><br>실제로 확진자와 접촉한 의료진에 대한 격리 지침을 살펴봐도 의료기관 역량에 따라 정한다는 모호한 기준입니다. <br> <br>응급실 의료진들은 매일 감염 위험과 싸우고 있는데도 화이자 백신 접종 대상에서는 배제됐다고 주장합니다. <br> <br>[A간호사 /대학병원 응급실 근무] <br>"백신 투약 인원으로 배치되는 사람들을 화이자 맞히겠다는 거예요.(이분들은) 환자를 보지 않아요. 이해가 되지 않는 거죠." <br> <br>방역당국은 예방효과가 95%로 높은 화이자 백신을 코로나19 직접 대응 인력에 우선 접종하도록 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다만 구체적인 대상자를 병원들이 제각각 선정하면서 형평성 논란이 불거지고 있어 혼란을 막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단 지적이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다해입니다. <br> <br>cando@donga.com <br>영상취재: 강승희 <br>영상편집: 이태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