코로나19 여파로 지난해 사교육비 총액이 크게 줄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고소득층과 저소득층의 학생 1인당 사교육비 지출은 최대 5배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고등학교는 입시 때문에 사교육비 지출이 오히려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취재 기자 연결합니다. 김종균 기자! <br /> <br />먼저 코로나19가 처음 발병한 지난해 사교육비 총액은 줄었다고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통계청과 교육부가 내놓은 '2020년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초중고 전체 사교육비는 9조 3천억 원으로 전년도 10조 5천억 원보다 11.8% 줄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초등학교 사교육비는 3조6천억 원으로 전년보다 25.2%나 줄었습니다. <br /> <br />사교육 참여율도 66.5%로 7.9%p 하락했습니다. <br /> <br />주당 사교육 참여 시간도 6.5시간으로 1.2시간 줄었습니다. <br /> <br />또 지난해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28만9천 원으로 큰 변화가 없었지만 초등학교 학생 1인당 사교육비는 월 22만천 원으로 전년보다 23.7%p나 줄었습니다. <br /> <br />반면 진로나 진학이 시급한 고등학생은 사교육비 지출이 월 38만8천 원으로 5.8%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등교 수업으로 채우지 못한 학습을 사교육으로 채운 것으로 분석됐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코로나 여파로 사교육비가 줄었는데도 소득 수준에 따라 한 달 사교육비가 최대 5배 이상 난다고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가구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사교육비 지출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 지출이 가장 큰 가구는 월 소득 최고 구간인 800만 원 이상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이 소득 구간 학생은 한 달에 50만4천 원을 사교육비로 지출했습니다. <br /> <br />반면 가구 소득 200만 원 미만의 학생은 한 달에 사교육비가 9만9천 원으로 5배 이상 차이가 납니다. <br /> <br />코로나 19 때문에 사교육비는 줄었지만 소득 격차에 따른 교육 양극화는 거의 개선되지 않았다는 의미입니다. <br /> <br />지역별로도 사교육비 지출이 갈렸습니다. <br /> <br />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서울이 43만3천 원으로 전년 대비 4.4% 줄었습니다. <br /> <br />반면 중소도시는 28만2천 원으로, 전년보다 12.2%나 감소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지난해 코로나19 확진자가 대거 발생한 대구·경북 지역은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가 23만천 원으로 전년 대비 16.3%나 줄었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지 사회부에서 YTN 김종균[chongkim@ytn.co.kr]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YTN은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.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10309144625249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