경찰에 헌재까지 사칭…'랜섬웨어 그놈' 첫 검거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다른 사람의 컴퓨터에 악성 프로그램을 심어 자료를 암호화한 뒤 '몸값'을 요구하는 랜섬웨어 범죄 피의자가 국내 처음으로 검거됐습니다.<br /><br />경찰이나 금융기관 등을 사칭해 유포한 이 프로그램으로 현재까지 120명이 피해를 봤습니다.<br /><br />홍정원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화면 왼쪽 위에는 알람시계가 초읽기 중입니다.<br /><br />컴퓨터 자료를 인질로 삼아 돈을 요구하는 악성 프로그램, 랜섬웨어에 감염된 겁니다.<br /><br />이메일에 첨부된 랜섬웨어 파일을 클릭하면 자동으로 프로그램이 깔리고 컴퓨터 인질극이 시작됩니다.<br /><br />가장 대표적인 수법은 경찰 사칭입니다.<br /><br />울산지방경찰청 제목에 놀란 피해자들은 깊이 생각할 겨를도 없이 첨부파일을 클릭했습니다.<br /><br />전국 63개 경찰관서와 헌법재판소, 한국은행까지 사칭했습니다.<br /><br />해외서버로 IP를 세탁하며 마구잡이로 이메일을 유포한 탓에 검거가 쉽지 않았는데, 이번에 처음으로 20대 남성 유포자가 경찰에 붙잡혔습니다.<br /><br /> "2년간 10개 국가 국제 공조 수사를 진행하고 3천만 건 이상의 가상통화 거래내역을 분석한 끝에 국내에서 피의자를 검거한 최초의 사례입니다."<br /><br />경찰은 지난달 25일 피의자를 구속해 이달 2일 검찰에 넘겼습니다.<br /><br />확인된 피해자만 120명, 피해액은 1억7천만 원 가량으로 추정됩니다.<br /><br /> "발송자가 불분명한 메일을 수신 시 랜섬웨어 등 악성코드에 감염될 수 있습니다. 컴퓨터에 반드시 백신을 설치하시고 운영체제 업데이트를 하시기를…"<br /><br />무엇보다 랜섬웨어 감염 시 돈을 지불하는 대신 경찰에 신고할 것을 당부했습니다.<br /><br />경찰은 인터폴과 함께 공범인 악성 프로그램 개발자와 브로커를 추적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홍정원입니다. (zizou@yna.co.kr 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