코로나 이후 양극화 심화…"장기 대응책 필요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코로나19 사태로 인해 1년 사이 우리 사회는 더욱 팍팍해졌습니다.<br /><br />국민 10명 중 8명은 계층 간 양극화가 극심해졌다고 답했는데요.<br /><br />이제는 보다 장기적인 대응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.<br /><br />구하림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코로나19 사태가 계속된 지 어느새 1년.<br /><br />국민 10명 중 8명은 코로나19 사태 이후 양극화가 심각해졌다고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.<br /><br />리얼미터 여론조사에 따르면 '코로나19 이후 양극화가 심해졌다'는 응답은 과반을 훌쩍 넘는 80%에 달했고, 경제 변화에 대해서는 '전보다 더 나빠졌다'는 의견이 절반을 넘겼습니다.<br /><br />특히 집합금지 조치에 자영업자들이 직격탄을 맞으면서 계층 간 격차도 더욱 커졌다는 분석입니다.<br /><br /> "집합금지 명령 즉각 철회하고 생계 대책 마련하라!"<br /><br />참여연대는 코로나19 경제 위기 극복을 위해 시민사회 좌담회를 열고, 정부가 그동안 장기적 대책보다는 거리두기 강화와 완화를 반복하는 임시방편에 주력해 사태를 악화시켰다고 지적했습니다.<br /><br /> "사회안전망 강화나 경제적 지원을 했다면 시민들의 고통도 줄일 수 있었습니다. 어려움에 처했다고 호소할 때마다 거리두기 완화로 대응했습니다."<br /><br />이미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한 만큼 단기적인 지원금 지급이 아닌, 고용 유지에 방점을 찍는 체계적 대책을 마련할 때라는 의견도 나왔습니다.<br /><br /> "사후적인 실업자 지원보다는 재직자 고용 유지, 즉 사전적인 재직자 고용 유지 대책에 조금 더 힘을 쏟아야 한다…"<br /><br />나아가 불안정한 고용상태에 놓인 계층이 나락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핀셋 지원을 중심으로 사회적 안전망을 확대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구하림입니다. (halimkoo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