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0년 전 오늘 2만 명 가까운 인명을 앗아간 동일본대지진이 일어났습니다. <br /> <br />초유의 강진과 쓰나미, 그리고 후쿠시마 원전 폭발 사고가 남긴 상흔은 10년이 지난 지금도 선명히 남아있는데요. <br /> <br />후쿠시마 피해 지역 현장 취재를 다녀온 이경아 특파원과 자세한 얘기 나눠보겠습니다. 이경아 특파원! <br /> <br />동일본대지진 발생 당시 YTN도 24시간 특보를 이어갔고, 전 세계 언론이 그 참상을 생생하게 전했는데요. <br /> <br />당시 피해가 어느 정도였는지 먼저 정리해 보죠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10년 전 오늘 오후 2시 46분에 일본 관측 사상 최대 규모인 규모9의 강진이 발생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 뒤 해안지역인 미야기, 이와테, 후쿠시마 3개 현에 높이 10미터를 훌쩍 넘는 거대한 쓰나미가 몰려왔습니다. <br /> <br />이로 인한 사망 실종자는 만 8천 명이 넘고, 대지진과 관련된 질병 등으로 숨진 사람까지 합치면 인명피해는 2만 명을 넘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도 피해 지역 주민 4만 천 명이 집에 돌아가지 못하고 피난 생활을 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물적 피해 역시 엄청났습니다. <br /> <br />쓰나미로 후쿠시마 제1원전 냉각 기능이 중단돼 결국 원자로 2기가 폭발한 것이 대표적인데요. <br /> <br />이 원전 사고는 사고 등급에서 1986년 체르노빌과 같은 수준의 대재앙으로 기록됐습니다. <br /> <br />일본 정부가 30-40년에 걸친 원전 사고 처리 비용으로 계산한 비용만 약 225조 원인데요. <br /> <br />폐로 기간과 오염수 처리 방식 등이 아직 확실하지 않아 기간과 비용이 얼마나 더 늘어날 지 알 수 없는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아직도 피난 생활을 하고 있는 사람들이 4만 명이 넘는군요. <br /> <br />왜 돌아가지 못하는 겁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제가 피해 주민들을 직접 만나보니 집으로 돌아오지 못하는 이유는 복합적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그 중 대표적인 것은 아직 사람들이 살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지 않았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후쿠시마 쓰시마 지구의 산페이 하루에 씨의 경우가 전형적인 사례였습니다. <br /> <br />이 지역은 연간 누적 방사선량이 50밀리시버트를 넘어 사람이 살 수 없는 '귀환곤란구역'입니다. <br /> <br />산페이 씨의 안내를 받아 마을 중심가와 학교, 동사무소 등 여러 곳을 돌아봤는데요. <br /> <br />폐허로 방치된 채 야생동물의 흔적이 곳곳에 남아있고, 훼손이 너무 심해 철거된 곳도 많았습니다. <br /> <br />일본 정부는 현재 7곳 남아있는 후쿠시마 귀환곤란지역 중 일부에 방사성물질 제거를 거쳐 사람이 살 수 있게 하겠다고 밝혔는데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10311131644581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