초고층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신속한 대응이 불가능해 큰 피해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은데요. <br /> <br />충남에서 고층 화재 진압을 위한 드론 시스템 구축이 진행되고 있어 가까운 미래에는 드론으로 불을 끄는 시대가 열릴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이상곤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해 10월 울산 33층 주상복합 건물에서 난 화재는 불을 끄는 데만 15시간 넘게 걸렸습니다. <br /> <br />70m 고가사다리차가 뒤늦게 도착해 고층까지 번진 불을 소방대원들이 일일이 돌아다니며 꺼야 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50층 이상 초고층 건물이 늘고 있는 가운데 직접 불을 끄는 소방드론이 첫선을 보였습니다. <br /> <br />25m 높이의 건물 옥상에서 화재가 발생하자 소방 호스를 연결한 드론을 띄워 신속하게 불을 끕니다. <br /> <br />소방차와 연결해 물을 공급받는 구조로 하늘에서 수압을 견디며 안정적으로 물을 뿌려주는 게 기술의 핵심입니다. <br /> <br />고가사다리차를 작동하는 것보다 준비 시간이 짧아 화재 진압을 위한 골든타임을 확보할 수 있다는 설명입니다. <br /> <br />[이우동 / 충청소방학교 드론교육훈련팀장 : 드론은 이륙할 장소인 최소한의 공간만 있으면 바로 날아올라서 50층까지 도달하는데 제가 볼 때는 1분 안쪽에도 해결할 수 있을 것 같아요. 그러면 고가사다리차 대비 시간을 엄청나게 단축하는 효과가 있겠습니다.] <br /> <br />소방드론이 각종 재난 현장에서 인명 수색이나 긴급 구호 물품 전달 등에 활용되고 있지만, 짧은 비행시간과 기술적 한계로 정작 불을 끄는 데는 사용할 수 없었습니다. <br /> <br />연구진은 화재 진압용 소방드론을 실제 현장에 투입하기 위해 장비를 추가로 개발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." <br /> <br />무게가 가볍고 강한 수압을 견딜 수 있는 탄소섬유 복합재료를 이용해 기존의 소방 호스를 대체하면 상용화가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. <br /> <br />[김홍 / 호서대 안전소방학부 교수 : 소방드론에 전원과 신호선이 동시에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시스템이 필요합니다. 그래서 저희는 탄소섬유 복합재료 배관을 이용해서 전원을 묶어서 올라가면 1시간이고 2시간이고 지속적으로 방수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게 해서….] <br /> <br />충청남도는 높이 120m 이상 고층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 소방드론을 투입할 수 있도록 2년 안에 시스템 구축을 마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YTN 이상곤[sklee1@ytn.co.kr]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YTN은 여러분의 소중한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10311211556912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