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대통령의 지시는 센데, 정작 현장은 그 기대에 못 미치고 있는데요. <br> <br>자세한 내용 정치부 최선 기자와 살펴보겠습니다. <br><br>[질문1] 최 기자, 문재인 대통령, 7일 연속 메시지를 냈는데 오늘 발언 수위는 유독 셉니다. <br> <br>문재인 대통령의 오늘 발언부터 살펴 보겠습니다. <br><br>"투기 전모를 다 들어내라."<br><br>"공직자와 LH 임직원, 가족에 친인척, 차명거래 여부 다 수사하라" <br> <br>"국민이 공감할 때까지 끝까지 수사해라."<br><br>"명운 걸고 수사하라"<br> <br>정말 명운을 걸어야 할 것 같고, 이대로라면 낱낱이 파헤쳐질 것 같습니다. <br><br>[질문2] 그런데 앞서 전해드렸지만, 현장에서는 이게 쉽지가 않다는 이야기가 나오잖아요? 지금 진행 상황이 어떻습니까? <br> <br>우선 다음주 실질적인 활동을 종료하는 합동조사단부터 살펴보겠습니다. <br><br>처음에 계획했던 조사 대상, LH와 국토부 직원은 물론이고요 퇴직자와 직원들의 친인척까지 싹 조사하겠다고 했지요. <br> <br>그런데 1차 조사에서는 1만 4천여 명의 LH, 국토부 직원들에 대한 기초 조사 정도가 진행됐을 뿐입니다. <br> <br>퇴직자는 개인정보 제공 동의를 받기 어렵고 수사권도 없어 조사하지 못했습니다. <br> <br>직원 친인척은 경찰에 조사를 넘겼지만 경찰은 대대적인 조사에 어려움을 언급하고 있습니다.<br><br>합조단이 다음주에 한다는 지자체 공무원, 지방 공기업 조사도 본인명의 거래만 파악하는 거라 한계는 분명해보입니다.<br> <br>여야 국회의원 300명에 대한 조사도 언급됐지만 여야 이해관계가 달라 합의되지 못하고 있습니다.<br> <br>검찰 수사, 감사원 감사 등의 방법이 있지만 검찰 수사는 검경 수사권 차원에서 원칙적으로 배제된 상태고, 감사원 감사는 아직 개시 조건이 충족되지 않았습니다. <br><br>[질문3] 현장의 한계도 문제지만, 누구도 책임지지 않는다는 지적이 있었죠. 오늘 변창흠 장관이 일단 사의를 표명했어요. 경질이라고 봐야 하나요? <br> <br>형식은 사의 표명인데 청와대 안팎에서는 경질로 보고 있습니다. <br> <br>정세균 국무총리는 어제 사의건의 의사를 공개적으로 내비치기까지 하지 않았습니까. <br> <br>다만 공급대책과 관련한 입법 기초작업까지는 마무리하라고 해 당장 옷을 벗지는 않게 됐는데요. <br> <br>'시한부 유임' 문재인 대통령의 인사 스타일이기도 합니다. <br><br>[질문4] LH 사태와는 직접적인 관계는 없는데, 조금 전 문재인 대통령이 올린 SNS 글이 화제가 되고 있어서요. 어떤 내용인가요? <br> <br>저도 이 메시지가 오후 6시가 조금 넘어 처음 올라왔을때 깜짝 놀랐는데요. <br> <br>이런 내용입니다. <br><br>"선거 시기라 이해하지만 그 정도 하시지요. 좀스럽고, 민망한 일입니다. <br> <br>대통령 돈으로 땅을 사서 건축하지만, 경호 시설과 결합되기 때문에 대통령은 살기만 할 뿐 처분할 수도 없는 땅이지요. <br> <br>모든 절차는 법대로 진행하고 있습니다." <br><br>경남 양산에 지을 사저 부지가 최근 농지에서 대지로 바뀐 것을 두고 한 야당 의원이 땅 투기 의혹을 제기했고, 한 언론이 이를 보도하자 해명과 함께 불쾌한 감정을 여과없이 드러낸 겁니다. <br><br>댓글이 1시간만에 2천 4백개가 넘게 달렸는데요. <br> <br>예상 밖의 글 내용이라 '해킹 당한 줄 알았다'는 반응에서부터 '한치의 흔들림없이 나가라'는 지지의 글, '영농 대통령'이라는 비판의 글까지 보수와 진보 지지층이 맞섰는데요.<br> <br>청와대는 대통령이 직접 썼다면서 야당을 향해 이제 그만 좀 하라는 메시지라고 설명했는데 야당의 거센 반발도 예상돼 당분간 논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잘 들었습니다. 지금까지 최선 기자였습니다. <br><br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