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이렇게 정부와 정치권이 LH 사태를 어떻게 수사할지 우왕좌왕하는 사이, 각종 투기 의혹이 전국에서 쏟아지고 있습니다. <br><br>먼저 이번 정부 들어 첨단 바이오 뷰티 산업단지로 지정된 충북 오송에서도 투기 정황이 포착됐습니다. <br> <br>외부인들이 들어와 땅을 쪼개서 사고 조립식 주택을 짓거나 나무를 심는 수법이 그대로 보입니다. <br> <br>김태영 기자가 현장취재했습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시골 마을 한켠에 똑같이 생긴 조립식 주택들이 세워져 있습니다. <br> <br>덩쿨이 뒤덮은 수도관은 물이 나오지 않고 전기 계량기도 멈춰 있습니다. <br> <br>[류일남 / 마을 주민] <br>"(집주인이) 마을 사람들은 아니에요. 외지에서 왔지. 사람이 사는지 모르겠어요. 차만 왔다갔다할 뿐이지." <br><br>등기부등본을 확인해보니 이 집들은 지난 2017년 10월 건축허가를 받았습니다. <br> <br>산업단지 조성에 앞서 충청북도가 일대 부지를 개발행위 허가 제한지역으로 묶기 한 달 전입니다. <br><br>토지 거래도 급증했습니다. <br> <br>지난 2016년 76건에 그쳤지만, 2017년엔 143건으로 두 배 가까이 늘었습니다. <br> <br>규모가 큰 토지는 두 명이 지분을 쪼개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2017년 9월부터 250㎡ 이상 토지를 거래하려면 청주시 허가를 받도록 했는데 이를 피하려는 의도로 보입니다. <br> <br>전문가들은 토지 보상이나 이주자 택지 보상을 노렸을 가능성을 제기합니다. <br> <br>이주하는 원주민에게 토지를 제공하는 이주자 택지 보상은 속칭 '황금딱지'로 불릴 정도로 인기가 높습니다. <br> <br>[공인중개사] <br>"이주자 택지 같은 경우는 가장 (먼저 분양) 우선권이 부여되고 조성원가의 70% 정도로 분양을 받아요." <br> <br>산업단지 인근에도 쪽집 10여 채가 들어섰습니다. <br> <br>이 집들 역시 2017년 10월 건축허가를 받았습니다. <br> <br>보상 대상에선 빠졌지만 발전 기대감에 땅값은 들썩이고 있습니다. <br><br>이 일대 토지 공시지가는 지난해 3.3㎡당 90만 원으로 산업단지 조성 발표 이전인 2017년 때보다 27% 올랐습니다. <br><br>충북경찰청은 공공기관 임직원 등의 부동산 투기 가담 여부를 조사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태영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박영래 <br>영상편집 : 정다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