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北, 한미 대북정책 압박...김여정 위상 여전 / YTN

2021-03-16 10 Dailymotion

북한 김여정 부부장의 담화는 바이든 행정부 출범 이후 첫 한미 당국의 대북 정책 조율을 앞두고 나왔다는 점에서 주목됩니다. <br /> <br />우리 정부에 대한 고강도 압박을 통해 미 정부의 유화적 대북정책을 이끌려는 의도가 담긴 것으로 보여 북측의 후속 조치가 우려됩니다. <br /> <br />이교준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의 담화가 미국 국무 장관과 국방 장관의 방한을 하루 앞두고 나온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큽니다. <br /> <br />이번 한미 고위급 회담은 바이든 행정부 출범 이후 처음으로 한미 양측이 직접 만나 대북정책 등을 조율하는 자리이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[양무진 /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: 2+2 한미 당국 회담을 앞두고 대화와 교류를 통한 협력의 길로 갈 것인지, 제재와 반인권을 통한 대결의 길로 갈 것인지 양자택일하라는 대남, 대미 압박의 의도가 담긴 것으로 분석합니다.] <br /> <br />이런 점에서 바이든 행정부를 향한 북한의 첫 공식 경고가 비교적 수위가 낮고, 말을 아낀 점은 눈여겨볼 부분입니다. <br /> <br />미 정부의 새로운 대북정책 노선을 좀 더 지켜본 뒤 대응수위를 조율하겠다는 의도가 엿보입니다. <br /> <br />앞서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지난 1월 8차 노동당 대회 보고에서 맞대응 원칙을 거듭 천명하며 대북 적대정책 철회를 촉구했습니다. <br /> <br />[북한 조선중앙TV : (보고는) 새로운 조미관계수립의 열쇠는 미국이 대조선 적대시 정책을 철회하는 데 있다고 하면서 앞으로도 강대강, 선대선의 원칙에서 미국을 상대할 것이라는 우리 당의 입장을 엄숙히 천명했습니다.] <br /> <br />미국의 대북제재 완화를 겨냥한 우리 정부에 대한 압박 수위는 여전합니다. <br /> <br />한미연합훈련에 반발해 남북 공식 대화창구인 조국평화통일위원회 폐지 등을 거론함에 따라 앞으로 후속 조치가 우려됩니다. <br /> <br />북한은 지난해 6월 김여정 담화가 나온 지 사흘 만에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폭파한 바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정대진 / 아주대 통일연구소 교수 : 대남 압박을 통해서 내부 결속을 하고 남측에 대한 압박을 통해 남북관계 주도권을 쥐는 것은 그대로 쥐고 나가는, 비군사적 부분에 있어선 아마 조만간 이행을 하지 않을까...] <br /> <br />김여정 부부장은 지난 8차 당 대회에서 공식 직책이 낮아졌지만 이번에 대남 공세 전면에 다시 나서며 정치적 위상을 과시했습니다. <br /> <br />남북관계 경색국면에서 김정은 위원장의 의중을 담은 담화로 우리 정부와 미국을 압박하는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10317003247509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