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LH 직원들이 이 동네 인근에 땅을 살 때 대출을 집중적으로 받은 곳이죠. <br><br>경찰은 북시흥 농협도 압수수색했습니다. <br> <br>이어서 홍유라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약 4시간의 압수수색을 마친 경찰이 압수품이 담긴 박스를 갖고 나옵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(혐의 입증할 만한 자료 나왔나요?)…. (LH 직원들 대출 자료 확보했나요?)…." <br> <br>경기남부경찰청 부동산 투기사범 특별수사팀이, 북시흥농협 본점과 지점 두 곳의 수상한 대출 흐름을 확인하기 위해 압수수색을 진행한 겁니다. <br> <br>[홍유라 기자] <br>"이곳 북시흥농협은 투기 의혹이 제기돼 경찰 수사를 받는 LH직원들의 농지 담보 대출이 집중적으로 이뤄진 곳입니다." <br> <br>일반 시중은행의 농지담보 대출은 금액이 크면 각종 심사를 받아야 하지만, 지역 단위의 농협은 최종 결정권이 해당 지점장에게 있어 농지담보 대출이 상대적으로 수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> <br>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과 참여연대는 오늘 투기로 의심되는 농지 매입 사례를 추가로 발표했는데, 대부분의 대출이 북시흥농협과 부천축협에서 이뤄졌습니다. <br> <br>대표적인 18건의 투기 의심 사례를 뜯어보면 토지 매입대금의 대부분을 대출로 충당했습니다. <br> <br>대출 이자가 한달 70만 원이 넘는 곳도 있었습니다. <br><br>[이강훈 / 변호사] <br>"상당히 많은 부분을 대출에 의존하고 있는데, 이렇게 많은 대출을 하고선 농업경영 수익이 제대로 발생할 수 없다는 거죠." <br> <br>금감원은 이번주 중 북시흥농협에 대한 현장 검사에 착수합니다. <br> <br>채널 A 뉴스 홍유라입니다. <br>yura@donga.com <br> <br>영상취재 : 김명철 <br>영상편집 : 김미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