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사회자] <br />감사합니다, 장관님. 다음은 질의 응답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. 시간 관계상 먼저 말씀드린 대로 한, 미 양측 기자 두 분씩의 질의를 받도록 하겠습니다. 먼저 한국 기자분의 질문을 받도록 하겠습니다. 세계일보 홍주형 기자님, 질문해 주십시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세계일보 홍주영입니다. 먼저 크게 두 가지 부분 질문드리도록 하겠습니다. 먼저 대북정책 관련인데요. 정의용 장관님과 블링컨 장관님 두 분께 모두 공통질문 드리겠습니다. 싱가포르 합의를 계승해야 한다고 생각하시는지 궁금하고요. 또 북한 최선희 외무성 부상이 미국의 적대시 정책이 철회되지 않으면 북미 접촉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담화를 했는데 이에 대한 입장을 여쭤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그리고 이어서 두 번째 질문은 지역 협력에 관한 것인데요. 먼저 정의용 장관님께 질문드리겠습니다. 이번 미국 장관들의 방한 중 쿼드 참여 요청을 받으셨는지 궁금합니다. 그리고 블링컨 장관님께는 이 쿼드와 관련해서 한국이 기여할 부분이 있다고 생각하시는지 여쭤보고요. <br /> <br />또 한국 측에 한일관계 개선에 대해서는 이번에 어떤 요청을 하셨는지, 또 한미 협력을 위해서 동맹국 간 관계에 어떤 형태의 적극적 관여를 하실 생각인지 궁금합니다. <br /> <br />[정의용 / 외교부 장관] <br />제가 먼저 답변하겠습니다. <br /> <br />대북정책과 관련해서는 싱가포르 합의는 우리 정부가 볼 때는 앞으로 북미관계 개선, 또 한반도에서의 평화 정착, 또 비핵화 문제 해결이라고 하는 기본적인 원칙들을 확인한 것이기 때문에 현 단계에서도 충분히 우리가 고려를 해야 된다고 하는 게 우리 정부의 입장입니다. <br /> <br />최선희 외무성 제1부상이 오늘 아침에 김여정 부부장의 3월 16일 담화에 이어서 연이은 담화를 발표한 데 주목하고 있습니다. 북한이 미국의 대북정책 검토 과정에서 한미 간의 고위급 협의가 진행되고 있는 것을 매우 긴밀히 주시하고 있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라고 일단 보여집니다. <br /> <br />한미 외교, 국방장관들과 북한 나름의 방식으로 우리와 미국에 메시지를 보내는 것이 아닌가, 일단 평가를 합니다. 오늘 이러한 의도에 대해서도 간략히 논의를 했습니다만 한미 양국은 계속 이 분야에 있어서도 공조를 해 나가기로 했습니다. 우리 정부는 바이든 미 신 행정부의 대북 접촉 노력을 계속 지지하고 북미 간에 비핵화를 위한 협상이 조속히 재개되기를 희망합니다. <br /> <br />이번 미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replay/view.php?idx=21&key=20210318122036609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