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한인 4명이 숨진 애틀랜타 총격 사건 현장에 추모객들의 발걸음이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이 사건 수사를 담당하는 보안관도 추모 현장을 찾아 눈물을 흘렸습니다. <br> <br>채널A와의 인터뷰에서 "한국인들에게 애도를 전하고 싶다"고 말했습니다. <br> <br>애틀랜타에서 유승진 특파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 꽃다발과 연대하겠다는 뜻을 담은 팻말이 수북히 쌓인 업소 앞. <br> <br> 예고된 집회시간이 다가오자 주민들이 모여듭니다. <br><br>"총격사건이 벌어졌던 또 다른 마사지 업소 앞에는 이렇게 주민들이 모여 아시아계 혐오 범죄 규탄 시위에 나섰습니다." <br> <br>[현장음] <br>"바람이 불지만, 초를 가지고 계신다면 불을 켜주세요." <br> <br> 제복을 입은 수사 당국 관계자들도 갑자기 모습을 드러냅니다. <br> <br> 자세히 보니 모두 손에 촛불을 들고 있습니다. <br> <br> 집회현장 질서 유지가 아닌 인종 혐오를 규탄하는 목소리에 힘을 보태기 위해서입니다. <br> <br> 사건 수사를 맡은 보안관은 충격적이었던 출동 당시 상황을 전합니다. <br> <br>[프랭크 레이놀즈 / 체로키 카운티 보안관] <br>"정말 아수라장이었어요. 1994년에 여기서 수사 업무를 시작했는데, 제가 본 최악의 참사 중 하나였습니다." <br> <br> 앞서 범인을 옹호하는 듯한 수사당국 대변인의 발언에 비난 여론이 빗발치자 <br> <br>[제이 베이커 /체로키 카운티 보안관 대변인(그제)]<br>"어제는 롱에게 정말 힘든 하루였습니다." <br> <br> 증오범죄 혐의로 기소하는 방안도 배제하지 않는다는 수사 당국의 입장도 이어갔습니다. <br> <br>[프랭크 레이놀즈 / 체로키 카운티 보안관] <br>"희생자가 나온 한국인 여러분들에게 애도를 표하고 싶습니다. 이번 사건의 경우 성공적인 기소 등 우리가 할 수 있는 모든 걸 할 겁니다." <br> <br> 연대의 외침이 울려퍼지는 집회를 지켜보다가 결국 참았던 눈물도 터집니다. <br> <br>[프랭크 레이놀즈 / 체로키 카운티 보안관] <br>"여러분과 세계가 알았으면 합니다. 우리는 사실 더 나은 사람들입니다. 희생자들에게 애도를 표합니다." <br> <br>[케이티 / 조지아 주민] <br>"이건 아시아인과 여성을 향한 범죄잖아요. 이건 증오 범죄입니다. 제 동네에서 이런 혐오들은 마주하는 건 괴롭습니다."<br> <br> 연쇄 총격 용의자를 기억하는 사람들을 찾아 범행 현장과 차량으로 10분 정도 거리에 있는 마을로 향했습니다. <br><br>"총격사건 용의자가 살던 집 밖은 이렇게 불이 켜져 있지만 집 안은 사람이 없는 듯 조용합니다." <br> <br> 몇 주 전 용의자를 만났다는 주민은 끝내 취재를 거부했습니다. <br> <br> 용의자가 자주 찾았다는 교회도 외부인의 출입을 경계합니다. <br><br> 교회 측은 이메일을 통해 "희생자와 가족들을 위해, 또 용의자 롱의 가족을 위해서도 기도하겠다"며 짧은 입장을 전해왔습니다. <br> <br>애틀랜타에서 채널A 뉴스 유승진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정명환(VJ) <br>영상편집 : 오영롱