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방금 보신 것처럼 LH 직원들 투기행태가 매일같이 ‘업데이트’되는데도 LH는 3년 연속 경영평가 A등급을 받았고 그래서 임직원들은 작년에도 천만 원 가까운 성과급을 받아왔습니다. <br><br> 이번 평가에선 불이익을 주겠다, 정부가 공언했는데, 과연 가능할지, 김유빈 기자가 따져봤습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LH의 2019년 공기업 경영평가 등급은 A. <br><br>3년 연속 최고 등급으로 LH 임직원은 2017년 7백만 원, 2018년 9백만 원, 지난해는 1천만 원에 가까운 성과급을 챙겼습니다.<br> <br>이런 가운데 최근 직원 땅 투기 의혹이 불거지자 정부는 6월 발표될 지난해 경영 평가에선 LH에 불이익을 주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이런 조치에도 올해 LH의 성과급 잔치는 막을 수 없을 것이란 지적이 나옵니다. <br> <br>100점 만점인 공기업 경영평가에서 윤리 경영 점수는 단 3점에 불과하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실제로 LH는 2019년 평가에서도 윤리경영은 최하 수준인 'D+'를 받았지만 전체 평가는 'A'였습니다. <br> <br>[홍남기 / 경제부총리(18일)] <br>"여러 가지 평가 항목이 있다 보니까 특정 부문에서 잘못하면 점수를 얻지 못하고 다른 분야에서 점수를 받으면 평가등급이 올라가는…" <br> <br>정부 국정철학 코드만 잘 맞추면 뭘 하든 후하게 점수 받는 구조도 문제란 지적입니다. <br> <br>[이정주 / 서울시립대 반부패시스템연구소 기획부장] <br>"기획재정부에서 평가하는 것은 정부의 국정과제 중에서 가장 우선시되는 부분 자체가 가중치가 많을 수 있어요" <br> <br>LH 직원은 2016년 말 6천5백여 명에서 2020년 말 9천5백여 명으로 45% 늘었습니다. <br> <br>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비정규직 근로자 1261명을 정규직으로 전환시키고 체험형 인턴을 늘린 결과입니다. <br> <br>같은 기간 LH의 매출은 13%, 당기순익은 19.5% 감소했지만 '일자리 창출'과 '상생협력' 같은 국정 철학 성실한 이행으로 높은 평가를 받은 겁니다. <br> <br>정부 코드가 아닌 공익성과 객관적인 경영 지표에 맞춰 평가 기준을 바꿔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유빈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조승현 장명석 <br>영상편집 : 배시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