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연쇄 총격 참사로 시름에 빠진 미국 애틀란타로 가보겠습니다. <br><br>바이든 대통령부터 일반 시민들까지 애도 행렬에 동참하고 있습니다. 희생자 가운데 한인 여성도 있었죠, <br><br>슬프지만 시민들 응원에 힘을 내겠다는 유족을, 유승진 특파원이 현지에서 만났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연쇄 총격 참사 사흘 만에 현지를 직접 찾았습니다. <br> <br> 비공개로 만난 아시아계 지도자들과 차별의 현실에 대해 이야기를 나눈 뒤 연설에 나섰습니다. <br> <br> 증오와 폭력에 맞서 침묵하지 말자고 강조했습니다. <br> <br>[조 바이든 / 미국 대통령] <br>"(지도자들 얘기 들어보면) 증오와 폭력은 보이는 곳에 숨어있고 침묵과 자주 만납니다. 우린 목소리를 내야 합니다. 우리는 행동해야 합니다." <br><br>"바이든 대통령이 애틀랜타를 방문한 이날, 사건 현장에는 이렇게 많은 취재진들이 모여 인종 혐오 규탄 목소리에 귀를 기울였습니다." <br> <br> 피부색과 상관 없이 많은 추모객들이 끊임없이 찾아와 애도를 표했고, 미 전역에서 인종 혐오에 맞서 연대하겠다는 다짐이 이어졌습니다. <br> <br>어린 소녀도, <br> <br>[멜라니 볼라노스 / 9살] <br>"세상은 싸우지 말고 평화로워야합니다. <br>더 이상의 폭력은 없어야 해요." <br> <br> 할리우드 스타도 목소리를 높였습니다. <br> <br>[루시 리우 / 할리우드 배우] <br>"최근 애틀랜타의 사건이 정말 많은 아시아인이 표적이 되고 있단 사실에 관심을 불러일으켰다고 생각합니다." <br> <br> 수사 당국은 한인 희생자 4명의 신원 일부를 공개했습니다. <br> <br> 51살에서 74살까지 미국 시민권자 3명과 영주권자 1명입니다. <br><br> 이 가운데 한인 여성 집 한 곳을 찾았습니다. <br> <br> 유족은 힘겹게 심경을 털어놓습니다. <br> <br>[애틀랜타 총격 사건 피해자 아들] <br>"어머니께서는 세상을 떠나셨습니다. 이제 동생을 (제가) 키워야하니까. 어쩔 수 없으니까. 힘내고, 계속 정진해야죠." <br> <br> 그를 향한 온라인 후원에는 5만 명 넘는 사람들이 참여했고, 후원금은 당초 목표의 100배에 달하는 22억 원을 넘어섰습니다. <br><br>아들은 "어머니께서 내가 세상의 지지를 받고 있다는 것을 아시고는 편히 쉬실 수 있을 것"이라며 감사의 마음을 전했습니다. <br> <br>애틀랜타에서 채널A 뉴스 유승진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정명환(VJ) <br>영상편집 : 강 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