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우리나라에서 1400만 명이 반려동물과 인생을 함께 하고, 월 14만 원 정도를 ‘양육비’조로 쓰고 있었습니다.<br> <br> 우리 사회 시스템이 이제 인간만이 아니라 동물까지 고려할 때가 됐음을 알려주는 의미 있는 통계 소개합니다.<br> <br> 황규락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국내 604만 가구. <br> <br>세 집 건너 한 집씩 반려동물을 키우는 시대. <br> <br>장효준 씨도 7년 전부터 하얀색 스피츠, 빼로를 키우기 시작했습니다. <br> <br>매달 사료와 간식은 물론 빼로가 아프기라도 하면 치료비까지 비용이 만만치 않습니다. <br> <br>[장효준 / 서울 용산구] <br>"강아지 밥이나 간식, 용변 패드, 그리고 옷이나 장난감 사는데 (한 달에) 15만~20만 원 드는 것 같아요." <br><br>[황규락 기자] <br>"조사에 따르면요. 반려 동물을 키우는 가정의 한 달 평균 양육비는 14만 원인데요. 반려견의 경우 한 달에 13만 원이, 그리고 반려묘는 한 달에 10만 원 정도가 듭니다." <br><br>양육비를 살펴보면 3분의 1이 사료 구매에 쓰이고 간식비와 용변 패드 등의 용품 구매, 미용비가 뒤를 이었습니다. <br><br>반려 동물이 늙어갈수록 자연스레 치료비도 증가합니다. <br><br>지난 2년간 반려 동물을 키우는 가구당 평균 47만 원을 지출했고 특히 반려견의 경우 노령기로 접어드는 8살부터 치료비가 급증했습니다. <br><br>1인 가구가 늘어나면 반려동물이 혼자 있는 시간도 늘어나기 마련입니다. <br><br>반려동물들은 평균적으로 매일 5시간 40분 정도 집에 혼자 있는데, 1인 가구의 경우 혼자 있는 시간이 평균 7시간 20분 정도로 길었습니다. <br><br>또 반려동물이 늘어나는 만큼 소음과 배설물로 인한 이웃 간 분쟁이나 양육 부담도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황규락입니다. <br> <br>rocku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이 철 <br>영상편집 : 이혜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