잇단 변이 출현…백신 감염차단 효과 급감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국내에서 변이 바이러스 감염 사례가 빠르게 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백신의 예방 효과를 떨어뜨리는 변이주 감염도 늘어 우려가 커지고 있는데요.<br /><br />백신 접종을 서둘러 변이 출현을 막고, 추가 백신 접종도 고려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.<br /><br />김장현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국내에서 주요 3종 변이 바이러스 감염 사례는 249건.<br /><br />한주 만에 36건 늘었는데, 이 중 26건이 지역 발생입니다.<br /><br />신규 변이 감염 중 영국 변이가 33건이고, 남아공 변이 2건 등입니다.<br /><br />이외에도 미국 등 기타 변이 75건을 포함돼 현재까지 324건의 변이 감염 사례가 나왔습니다.<br /><br />변이 바이러스는 전파 속도 증가, 백신 효과 감소가 문제로 지적되는데, 영국 변이는 전파 속도가 빠르지만, 백신의 효과를 크게 떨어뜨리진 않았습니다.<br /><br />다만 남아공이나 브라질 변이는 바이러스를 무력화하는 중화 능력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드러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방역 당국과 전문가들은 계속되는 변이주 출현을 막기 위해 백신 접종을 서둘러야 한다고 강조합니다.<br /><br />아울러 기존 백신을 개량해 추가 접종하는 것도 필요하다는 의견입니다.<br /><br /> "백신을 최대한 많이 접종해서 더이상 변이주가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을 줄이고 변이주에 대한 백신을 빨리 개발해서 변이주마저도 잡는 식으로 가져가야 할 것 같아요."<br /><br />한가지 다행인 점은 변이 바이러스가 나와도 백신이 중증으로 진행되는 것을 막는 효과는 아직 유지된다는 것입니다.<br /><br /> "노바백스나 다른 백신들을 보면 중증 이환을 예방하는 효과는 어느 정도 있는 것처럼 보이거든요."<br /><br />고령층을 우선으로 한 백신 접종을 서둘러 진행하고 변이주에 대한 개량 백신 확보도 꾸준히 추진해야 한다는 의견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장현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