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북한이 말레이시아와 단교하고 공관까지 철수한 계기가 됐죠, <br /> <br />말레이시아에서 체포돼 미국으로 인도된 북한 사업가가 FBI에 구금됐습니다. <br /> <br />유주은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리포트]<br />FBI가 말레이시아에서 체포돼 인도된 50대 북한 사업가 문철명 씨를 구금했습니다. <br /><br />문 씨는 유엔 제재를 어기고 돈세탁은 물론 술, 시계 등 사치품을 북한에 넘긴 혐의로 미국에 인도된 첫 북한인입니다.<br /> <br />문 씨는 2년 전 체포 당시 '정치적 목적'이라며 반발했고 혐의도 부인해왔습니다. <br /> <br />[자깃 싱 / 문철명 씨 변호인(2019년 9월)] <br />"완전히 정치적이며, 북한은 (문 씨의 체포에 대해) 매우 분노하고 동요하고 있습니다." <br /><br />문 씨의 미국행에 북한은 말레이시아와 단교하고 대사관 짐도 뺐습니다. <br /> <br />평양으로 가는 직항편이 없어 외교관과 가족 등 30여 명은 상하이로 향했습니다. <br /> <br />[김유성 / 말레이시아 주재 북한 대사대리] <br />"이번 사건은 미국의 극악무도한 정책으로 만들어진 반북 음모의 산물입니다." <br /><br />말레이시아 대사관 철수로 북한의 재외공관 수는 53곳에 불과합니다. <br /> <br />우리나라의 3분의 1에도 미치지 못합니다.<br /> <br />남아 있는 북한 외교관들의 궁핍한 생활도 류현우 전 대사대리 증언을 통해 공개된 바 있습니다. <br /> <br />[류현우 / 전 북한 대사대리] <br />"불법장사를 하게 돼 있습니다. 아프리카 나라들에서는 대체로 코뿔소 뿔, 상아 그다음 미주 쪽에서는 여송연(시가)…" <br /><br />그나마 사정이 좋았던 독일 베를린 주재 북한 대사관. <br /> <br />5층짜리 소유 건물을 숙박시설로 임대해주고 자금을 충당해왔지만, 이 시설도 대북제재 위반 혐의로 지난해 문을 닫았습니다.<br /> <br />외국 공관들의 북한 탈출도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평양 주재 러시아 대사관 직원과 가족들은 코로나19로 봉쇄된 북한을 떠나 철길수레를 직접 끌고 양국 국경을 건넜습니다. <br /> <br />채널A 뉴스 유주은입니다. <br /> <br />유주은 기자 grace@donga.com <br />영상편집 : 이혜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