투기 의혹을 받고 있는 직원 개개인도 문제지만, LH 한국토지주택 공사의 방만 경영도 큰 문제입니다. <br /><br />LH가 성과급 잔치를 벌였다는 사실은 이미 전해드렸죠. <br /><br />사내 복지 기금도 공기업 중 가장 많았는데, 회사는 부채 덩어리였습니다. <br /><br />아시다시피 공기업 부채는 언젠가 국민 세금으로 채워야합니다. <br /><br />박정서 기자가 LH의 재정 상태를 분석해드립니다. <br /><br />[리포트]<br />국회 예산정책처가 발간한 '2021 공공기관' 보고서. <br /><br />지난해 LH의 사업수입은 20조 9천억 원.<br /><br />그런데 지출은 45조 4천억 원이 넘습니다.<br /><br />주택 공급 등 사업비로 22조 넘게 썼고, 차입금 상환에 8조를 사용했습니다. <br /><br />2019년과 비교하면 약 8조3천억 원이 늘었습니다.<br /><br />LH가 속한 '준시장형 공기업' 가운데 가장 큰 지출규모입니다. <br /><br />특히 LH 직원을 위한 사내근로복지기금은 2019년 474억 원을 출연해 다른 시장형 공기업과 준정부기관을 합한 것보다 많았습니다. <br /><br />2018년부터 2년간 총 874억 원의 사내근로복지기금을 출연했는데, 예산정책처는 LH가 2018~2019년까지 부동산 가격이 오르면서 수익이 늘었고, 복지기금도 덩달아 늘었다고 분석했습니다. <br /><br />이에 LH 측은 경조사비, 단체보험금 등 직원들의 복리후생을 위해 사용되는 기금이라며 순이익의 5% 내에서 출연이 가능한 수준이었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<br />LH의 총 부채는 2019년 기준 126조 6800억 원. 사업비 투입 등의 이유로 발생했는데 부채 비율은 254.2%에 달합니다.<br /><br />예산정책처는 2024년까지 LH가 정부 주도의 공급정책을 추진하면서 부채가 48조 원가량 더 늘어날 거라 전망했습니다. <br /><br />[성태윤/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] <br />"현재와 같이 공공 위주의 택지나 주택공급인 상황에서는 향후 부채를 비롯한 재산상 문제, 또는 재무건전성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은 있다고 생각합니다." <br /><br />이번 투기 의혹 사태로 LH가 해체 수준의 개혁을 요구받는 가운데 재정 여건을 고려하지 않은 씀씀이에 손을 대야 한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<br />채널A 뉴스 박정서입니다. <br />emotion@donga.com <br />영상취재: 추진엽 <br />영상편집: 정다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