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국·중국, 알래스카 난타전 이어 살얼음 대치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알래스카 고위급 회담을 통해 난타전을 벌인 미국과 중국의 살얼음 대치가 계속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문제는 갈수록 깊어지는 양국 간 갈등이 해소될 기미조차 안 보인다는 건데요.<br /><br />이봉석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난주 알래스카에서 가시 돋친 설전을 주고받은 미국과 중국.<br /><br /> "우리는 또한 신장자치구와 홍콩, 대만, 미국에 대한 사이버 공격을 포함한 중국의 행위와 함께 우리의 깊은 우려에 대해 논의할 것입니다."<br /><br /> "누가 중국을 억압하고 질식시키는 접근 방식을 취하든 결국 자신에게 해가 될 것이라는 걸 역사는 보여줄 것입니다."<br /><br />이에 앞서 바이든 행정부는 인권을 고리로 동맹들을 묶어 중국을 때리겠다는 의지를 내비쳐왔고, 실제로 미국과 일본, 인도, 호주 등 쿼드 정상회의와 미국 국무·국방부 장관의 한일 순방 등을 통해 본격적인 중국 견제에 나섰기에 이날 충돌은 예견됐었습니다.<br /><br />대체로 미국이 대중국 압박 행보 또는 제재에 나서면 중국이 강하게 반발하며 맞대응하는 모습이 되풀이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일각에선 알래스카 회담이 갈등 해소의 출발점이 될 수도 있지 않겠느냐는 기대 섞인 관측도 있었지만, 미국이 유럽연합, 그리고 영국, 캐나다 등 서방 국가들과 동시에 신장위구르자치구 관련 대 중국 제재에 나서면서 미중 간 긴장은 갈수록 높아지는 모습입니다.<br /><br />월요일부터 나흘에 걸친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의 벨기에 NATO(나토) 장관회의 참석도 중국 견제를 위한 협력 강화에 방점이 찍혀 있습니다.<br /><br />미국 정부가 거짓 정보를 퍼뜨리고 있다며 중국 관영 CCTV를 징계해달라는 국제 비정부기구의 청원에 대한 검토에 착수했다는 보도도 나왔습니다.<br /><br />신냉전 양상으로 치닫는 미중 관계가 북핵 문제를 포함한 한반도 정세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비상한 관심이 모아집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 이봉석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