대체 매립지 무산 위기…자체 처리시설 조성도 난항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수도권매립지 사용기한이 오래 남지 않은 상황에서 대체 매립지 공모가 진행 중인 가운데, 수도권 지자체들은 자체 쓰레기 처리시설을 조성하는 데도 부심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그러나 진행 과정이 순탄치 않아 난항을 겪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김민혜 기자의 보도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서울과 인천, 경기도가 공동 사용하는 수도권매립지입니다.<br /><br />서울의 경우 5개 소각시설이 있지만, 처리시설 용량이 부족해 2019년 하루 기준 1천 톤 가까운 생활폐기물을 직매립에 의존하는 실정입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인천시가 지난해 자체 매립지 조성계획을 밝히며 수도권매립지를 2025년 닫겠다고 선언하면서 연장 사용 여부는 불투명해졌습니다.<br /><br />이에 매립 규모를 최소화하면서 쓰레기를 자체 처리할 수 있는 대책 마련도 시급해졌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소위 '혐오시설'로 분류되는 쓰레기 처리시설을 늘리는 데는 난항을 겪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서울시는 재작년 2차례에 걸쳐 광역소각시설 입지 공모를 진행했지만, 신청지는 한 곳도 없었습니다.<br /><br />결국 입지 지역의 인센티브 사업계획까지 검토하며 후보지 타당성 조사 용역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 "주민들에게도 꼭 필요한 시설임을 인정받을 수 있도록, 또 이 시설로 인해 지역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게 저희의 목표입니다."<br /><br />오는 8월까지 서울시 전역을 대상으로 후보지를 골라 협의해나가겠다는 계획이지만, 성사될지는 미지수입니다.<br /><br />인천시는 영흥도에 자체 매립지를 짓겠다고 결정했지만, 주민들의 반발은 여전히 거세고, 인근 안산시까지 환경오염 우려를 들며 일방적 결정이라고 반발하면서 빨간불이 켜졌습니다.<br /><br />수도권매립지를 대체할 부지 선정 공모도 무산될 가능성이 커지는 상황, 여기에 2026년부터는 수도권 내 가연성폐기물 매립이 금지되면서 저마다 해법 찾기에 고심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민혜입니다. (makereal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