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북한 관련 소식 하나 더 전해드립니다. <br> <br>유엔이 북한의 인권 침해를 규탄하는 [북한 인권 결의안]을 19년 연속 채택했는데 여기에 미국이 3년 만에 동참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우리 정부는 빠졌습니다. <br> <br>한수아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[나자트 샤밈 칸 / 유엔인권이사회 의장]<br>"북한 인권결의안 을 표결 없이 합의 결의합니다." <br> <br>어제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북한 인권 결의안이 채택됐습니다. <br> <br>지난 2003년 이후 19년 연속입니다. <br><br>올해 결의안에는 '송환되지 않은 북한 내 전쟁포로와 후손들의 인권 침해가 우려된다'는 점과 서해 피격 공무원 상황을 고려한 듯 북한 국경에서의 무력 사용 자제 등의 내용이 새로 담겼습니다. <br><br>지난 방한 때 북한 인권 상황을 지적한 바이든 행정부는 <br> <br>[토니 블링컨 / 미 국무장관(지난 18일 방한 당시)] <br>"북한 주민들은 압제적 정권 밑에서 광범위하고 체계적인 유린을 당하고 있습니다." <br><br>3년 만에 다시 공동제안국으로 이름을 올렸습니다. <br> <br>하지만, 우리 정부는 3년째 불참했습니다. <br><br>외교부 당국자는 "인권 문제가 중요하지만 여러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했다"고 설명했습니다.<br><br>북한 외무성은 '재미난 놀음의 끝에는 화가 있다'는 유럽 격언을 인용해 "부질 없는 인권 모략 소동을 멈추라"고 주장했습니다. <br><br>"인권 문제만큼은 양보 없다는 미국. 북한 자극은 피하고 싶은 우리 정부. 이 간극을 좁히는 게 외교부의 난제로 떠올랐습니다. 채널A 뉴스 한수아입니다." <br> <br>sooah72@donga.com <br> <br>영상취재: 한일웅 <br>영상편집: 최창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