美 올해 물가상승 전망…"인플레 유발할 정도 아냐"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최근 미국이 코로나19로부터 경기회복세를 보이면서 예상을 웃도는 물가상승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미 금융당국과 경제학계는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정도는 아니라며 우려를 일축했습니다.<br /><br />박혜준 PD입니다.<br /><br />[리포터]<br /><br />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이 올해 물가가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.<br /><br />최근 미국이 코로나19로부터 빠른 경기회복세를 보이면서 예상을 웃도는 물가상승 우려가 나오고 있지만,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정도는 아닐 것이라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혹여 과도한 물가상승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대처할 능력이 있다고 자신했습니다.<br /><br /> "인플레이션에 대한 영향은 특별히 크지 않고 지속적이지도 않을 것이라는 게 최선의 견해입니다. 인플레이션 문제에 대처하기 위한 수단도 갖고 있습니다."<br /><br />노벨 경제학상을 받은 폴 크루그먼 뉴욕시립대 교수도 인플레이션 우려에 대해 냉정해질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.<br /><br />크루그먼 교수는 국제 금융위기 직후 부양책을 펼쳤던 2010년과 코로나19 사태 이후 적극적인 부양책을 펴는 현재 상황을 비교했습니다.<br /><br />2010년 당시 석유와 대두 가격이 1년에 40% 오르는 등 물가가 상승하자 일각에서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를 제기했지만, 물가는 조만간 진정됐다고 설명했습니다.<br /><br />그러면서 석유와 대두 같은 상품의 가격은 시시각각 변하기 때문에 문제는 농산물과 석유류를 제외한 근원물가라며 기업들은 상품 가격을 올리지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.<br /><br />크루그먼 교수는 아직 정상화되지 않은 글로벌 공급체인의 영향으로 일부 상품에서 일시적인 가격 상승이 나타날 수도 있지만 "겁먹지 말라는 2010년도의 교훈은 그대로 남아있다"고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박혜준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