생산성에 발목 잡힌 한국…관건은 디지털 기반 혁신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한때 '한강의 기적'이라 불리는 고성장을 이뤘던 한국 경제가 생산성 둔화로 한계에 부딪혔다는 이야기가 나온 지 오래인데요.<br /><br />코로나 사태가 생산성 악화에 독이 될 수도, 약이 될 수도 있는 중대기로라는 분석이 나왔습니다.<br /><br />조성미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기업의 과감한 투자와 연공서열제 기반 인사관리 등은 한때 동아시아의 고성장을 지탱하는 핵심 요인으로 꼽혀왔습니다.<br /><br />그러면 아직도 그럴까?<br /><br />재작년 우리나라의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1.9%.<br /><br />두 해 연속 3%대를 보이다 다시 1%대로 밀려났습니다.<br /><br />이 기간 경제성장률도 3%대에서 계속 하락해 2% 선까지 밀렸습니다.<br /><br />노동이나 자본을 더 쏟아붓는 것으로 성장률을 높이는 것이 한계에 부딪힌 겁니다.<br /><br />실제로 2000년대 초만 해도 5%대던 우리나라의 성장률은 글로벌 금융위기 뒤 생산성 하락과 함께 반 토막 났습니다.<br /><br />코로나19 사태는 이런 추세를 더 심화시킬 소지가 큽니다.<br /><br /> "감염병 확산이 장기화되면서 소비·투자의 동반 위축이 예상되고, 한계기업 등에 대한 구조조정이 지연돼 시장 비효율성이 커지면서 생산성 하방 압력으로…"<br /><br />반면, 이번 위기가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을 가속화하면서 기존의 생산성 둔화 요인을 해소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분석도 있습니다.<br /><br />새로운 디지털 기반 재화, 서비스의 등장으로 신규 소비가 창출되면 시장의 역동성이 올라갈 수 있단 겁니다.<br /><br />한국은행은 이를 위해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와 과감한 구조조정, 혁신을 위한 규제 축소를 선결 과제로 꼽았습니다.<br /><br />한은 역시 조직 효율화를 통한 생산성 제고를 추진합니다.<br /><br />한은은 최근 세계적 인사 분야 컨설팅업체를 통해 연공서열식 호봉제 개편과 성과평가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조성미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